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네이버지도, '실내 AR 내비게이션' 출시…스마트폰 카메라로 길 찾을 수 있다

글로벌이코노믹

네이버지도, '실내 AR 내비게이션' 출시…스마트폰 카메라로 길 찾을 수 있다

네이버랩스 공간지능 기술과 시너지 강화
디지털 트윈·AI 비전 측위 기술력 집약돼
전국 주요 랜드마크 3차원로 구현한 플라잉뷰 3D도 공개
네이버지도가 코엑스에서 진행하는 '실내 AR네비게이션' 모습. 사진=네이버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지도가 코엑스에서 진행하는 '실내 AR네비게이션' 모습. 사진=네이버
네이버지도가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실내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로 길을 찾을 수 있게 했다. 국내 주요 랜드마크를 3차원으로 구현한 '플라잉뷰 3D'서비스도 실시한다.

23일 네이버에 따르면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이 반영된 '실내 AR 내비게이션'이 이날 정식 오픈했다. 이 서비스는 GPS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로 이용자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해 AR방식으로 길을 안내를 해주는 서비스다. 목적지까지 이동 방향이 현실 공간 위에 직관적으로 표시돼 대형 복합 시설과 같이 복잡한 실내에서도 길을 헤매지 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코엑스에서 우선 만나볼 수 있다. 앞서 네이버지도는 지난 8월부터 네이버 1784와 그린팩토리에서 AR 내비게이션을 시점 운영하며 기술·서비스 안전성을 높였다. 향후 네이버지도는 코엑스를 시작해 유동 인구가 많은 복합 공간 대상 시설을 시작해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이번 업데이트와 함께 실내 편의시설 유저 인터페이스(UI)도 개선해 이용자가 음식점이나 카페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와 화장실, 안내데스크와 같은 편의시설을 한층 편리하게 탐색하고 AR 길 안내를 통해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이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이버지도는 네이버랩스의 다양한 공간 지능 기술을 접목하고 고도화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3차원 공간 정보를 구축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 △카메라로 현재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는 AI 비전 측위 기술이 적용됐다.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바라보는 방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파악해 이용자가 카메라로 비추는 공간에 식당과 카페, 상점 등 다양한 정보를 자연스럽게 증강하고 실내에서도 정확하면서도 생생한 길 안내가 가능해졌다.

또 네이버지도는 국내 주요 랜드마크를 한층 생생하게 탐색할 수 있는 플라잉뷰 3D도 선보였다. 이 서비스는 경주 첨성대와 서울 코엑스,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전주 한옥마을, 부산 벡스코 등 10개 명소 주변에서 우선 만나볼 수 있다. 네이버지도는 국내 대표 랜드마크와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플라이뷰 3D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네이버지도 관계자는 "통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도 네이버지도를 통해 한국의 주요 명소들을 현실감 있게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플라잉뷰 3D를 로딩하면 네이버랩스의 노블뷰 신세시스(NVS) 기술로 구현한 실감나는 영상도 경험할 수 있다. NVS는 이미지 학습만으로 3차원 공간을 구성하고 여러 각도에 촬영한 듯한 영상을 생성하는 3D 비전 기술이다.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항공 이미지와 네이버랩스 자체개발 매핑 장비 P1으로 촬영한 거리뷰 3D 이미지를 결합해 3차원으로 구현된 랜드마크를 다양한 각도에서 현실감 있게 둘러볼 수 있다.

최승락 네이버지도 부문장은 "네이버지도는 장소 탐색부터 이동까지 전반적인 여정을 완결성 있게 지원하는 올인원 플랫폼에서 나아가 오프라인의 현장감도 생생하게 구현하는 '현실과 가장 가까운 지도'로 거듭나고 있다"며 "지도와 공간지능 기술의 시너지가 무궁무진한 만큼 이용자에게 더 혁신적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지속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