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대한민국 수력 산업·학술 컨퍼런스’ 개최
수력발전 기술과 산업 동향 공유…기술 한 단계 도약
수력발전 기술과 산업 동향 공유…기술 한 단계 도약

수력원자력(한수원)은 지난 6일부터 이틀간 서울 서초구 더케이(The-K)호텔에서 ‘2023 대한민국 수력 산업·학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수력발전 기술의 국산화 추진을 기념하고, 수력 산업 육성을 위해 마련됐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을 비롯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대한전기학회, 두산에너빌리티 등 산학연 관계자 2000여명이 참석했다.
최근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 수요 증가로, 수력 및 양수 발전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한수원은 올해 1월부터 진행하는 화천수력 3호기 현대화 사업을 계기로 그동안 해외기술에 의존했던 수력발전 기술의 국산화에 돌입할 방침이다.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36년까지 45조원 규모의 양수, 화학적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BESS) 등 26GW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추가 건설될 계획이다.
해외에서도 현재 1392GW인 수력 설비가 2035년 2054GW까지 증대될 전망이다. 한수원은 이런 변화에 발맞춰 수력발전 주기기 및 보조기기 등 기자재 국산화를 추진한다.
건설·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력 산업 플랫폼을 구축해 국내외 시장에서 수력발전 산업을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수력 기술 국산화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