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5조 규모 신규 공공공사 발주 예정…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

6일 조달청에 따르면 올해 정부는 건설경기 회복을 목표로 55조5035억원 수준의 신규 공공공사를 발주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38조1147억원보다 17조3888억원(45.6%) 증가한 액수로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다.
조달청을 통해 집행하는 중앙조달은 23조1000억원으로 나머지 32조4035억원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자체 발주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SOC 예산은 △도로분야 8조원 △철도분야 8조1000억원 △항공‧공항분야 9000억원 △지역 및 도시 1조8000억원 등 총 20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이중 신속 집행 관리 대상인 19조1000억원 가운데 12조4000억원(65.0%)이 상반기내 집행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신규 공공공사를 발주로 수주절벽에 직면한 국내 건설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견 건설사들도 정부 지원책에 환호하는 분위기다. 정부의 공공 도시정비사업은 브랜드보단 기술력으로 승부를 볼 수 있어 중견사들도 수주에 도전해볼 만 하기 때문이다.
최근 주택시장은 중소형 건설사들의 설 자리가 부족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래미안’ ‘아크로’ ‘자이’ ‘푸르지오’ 등 강력한 브랜드를 앞세운 대형(10대) 건설사들이 꽉 잡고 있어 상대적으로 브랜드 파워가 떨어지는 중소형 건설사들이 들어갈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브랜드 파워가 곧 수주의 원동력인 셈이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택지 공급이 줄어 아파트를 짓고, 재건축·재개발할 부지가 없는데 대형사들이 지역 사업이나 소규모 사업까지 넘어와 파이를 뺏기는 실정"이라며 "공공공사 부문은 브랜드 파워보다는 기술력으로 승부를 볼 수 있어 중견사들도 수주에 도전해볼 만 하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공사는 일단 한번 수주해보면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해 중소 건설사 간 수주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낮은 수익성에 아쉬움을 표했다. 공공공사는 민간공사보다 공사비가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돼 건설사가 가져갈 수 있는 이익이 상대적으로 적다.
김보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mtollee12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