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도급계약서 100% 수용 선언...“협상기간 없애 신속하게 사업 추진”
착공 전 공사비 인상 요인도 최소화...대표이사 전면 나서 수주 의지 '활활'
착공 전 공사비 인상 요인도 최소화...대표이사 전면 나서 수주 의지 '활활'

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이 개포우성7차 재건축조합에 이같이 제안하며 신속한 사업추진 약속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조합의 계약서(안)를 100% 수용하겠다고 선언하며 시공사 선정 후 조합과 시공사 양측이 계약 협상으로 인해 지지부진한 기간을 없애겠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비사업의 추진동력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요인은 시공사 선정 직후 조합과 시공사간 공사도급 조건 이견으로 인한 지연”이라며 “대우건설은 계약체결 지연에 의한 사업지연을 원천 차단해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의 빠른 사업추진을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개포우성7차 조합은 실착공 전까지 물가변동으로 인한 공사금액 조정 시 그 기준을 건설공사비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변동률의 평균값을 제안하도록 했으나 평균값이 아닌 낮은 값을 적용하겠다고 계약서 문구를 수정했다는 것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조합원 분담금을 절감할 수 있는 추가 제안”이라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공사비 상환순서 조항에 ‘분양수입금 내 기성불’ 방식도 적용하고 있다.
분양수입금 안에서 조합의 이자비용과 사업비를 먼저 상환한 후 남은 금액 한도 내에서 공사비를 최후순위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는 공사비 연체료가 원천적으로 발생할 수 없는 구조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반대로 경쟁사는 공사비, 대여이자, 대여원금 순으로 조항을 수정해 조합에게 금융비 증가 리스크를 전가했다”며 “대우건설은 조합의 금융비용 및 조합 분담금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들을 계약서 곳곳에 담아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최근 경쟁이 치열했던 서울 용산구 한남4구역에서도 조합 계약서 100% 수용 제안이 나온 바 있었지만 통상 정비사업에 조합계약서를 100% 수용해 입찰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덧붙였다.
대우건설은 지난 1차 합동 설명회에서 김보현 대표가 직접 단상에 올라 강력한 의지를 밝혔듯이 개포우성7차는 11년 만에 리뉴얼한 써밋의 기념비적인 첫 단지인 만큼 제안 드린 계약서와 제안서 모든 내용을 책임지고 이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