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7월 전국 악성 미분양 다시 '증가'...주택 공급지표도 '악화'

글로벌이코노믹

7월 전국 악성 미분양 다시 '증가'...주택 공급지표도 '악화'

국토부, 7월 주택 통계 발표...전국 미분양 6만2244가구
악성 미분양 2만7057가구...전월 대비 341가구 증가
인허가·착공·준공 실적 감소...분양 51.9%↑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다시 증가하고 인허가·착공·분양·준공 실적은 줄어드는 등 주택 공급지표가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7월 말 기준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직전월 대비 2.3%(1490가구) 줄어든 6만 2244가구로 집계됐다. 7월 주택통계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교통부 이미지 확대보기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7월 말 기준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직전월 대비 2.3%(1490가구) 줄어든 6만 2244가구로 집계됐다. 7월 주택통계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교통부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7월 말 기준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직전월 대비 2.3%(1490가구) 줄어든 6만 2244가구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수도권 미분양은 1만 3283가구로 4.7% 감소했고 지방 미분양은 4만 8961가구로 1.7% 줄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국 악성 미분양 주택은 7월 말 기준 2만7057가구로 전월 대비 341가구(1.3%) 늘었다.

수도권 악성 미분양이 4468가구로 16.5%, 지방은 2만 2589가구로 전체의 83.5%를 각각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707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남 3468 가구 △경북 3235가구 △부산 2567가구 △전남 2069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7월 주택통계 전국 주택 건설 실적. 사진=국토교통부이미지 확대보기
7월 주택통계 전국 주택 건설 실적. 사진=국토교통부


한편 인허가·착공·분양·준공 등 주택 공급지표도 악화됐다.

지난달 주택 인허가 실적은 1만6115가구로 직전월(2만8018가구) 대비 42.5% 감소했다. 누적 인허가 실적은 15만4571가구로 전년 동기(17만1677가구) 대비 10.0% 줄었다.

지난달 수도권 인허가는 9879가구로 전월 대비 28.4% 감소했다.

지난달 착공은 2만1400가구로 6월(2만8871가구)과 비교해 25.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착공은 1만708가구로 47.6% 감소했다.

지난달 분양 실적은 2만2752가구로 6월(1만4983가구)과 비교해 51.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분양은 1만1939가구로 35.2% 늘었다.

다만 올해 7월까지 누적 분양은 9만717가구로 전년 동기(12만5476가구) 대비 27.7% 줄었다.

지난달 준공은 2만5561가구로 6월(4만115가구) 대비 36.3% 감소했다. 7월 수도권 준공은 1만5115가구로 6월 대비 31.7%, 지방은 1만446가구로 41.9% 각각 감소했다.

올해 7월까지 누적 준공은 23만1172가구로 전년 동기(24만8605가구)와 비교해 7.0% 줄었다.

한편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6만4235건으로 전월 대비 13.0% 감소했고 전월세 거래량은 24만3983건으로 전월과 비교해 0.7% 증가했다.

수도권은 매매 거래량 3만4704건, 전월세 거래량 16만2786건으로 전월과 비교해 각각 19.2%, 0.4% 각각 줄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8485건으로 6월(1만814건)보다 21.5% 감소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