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학교안전공제중앙회, 국회서 'K-Safety' 안전교육 체험 부스 운영...정훈 이사장 “AI·스마트 기술로 발전시킬 것"

글로벌이코노믹

학교안전공제중앙회, 국회서 'K-Safety' 안전교육 체험 부스 운영...정훈 이사장 “AI·스마트 기술로 발전시킬 것"

학교안전공제중앙회는 11~12일 국회의원회관 2층 로비에서 열리는 'K-Safety, AI로 학생과 미래를 지키는 학교안전' 행사에 참여해 안전교육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사진=학교안전공제중앙회이미지 확대보기
학교안전공제중앙회는 11~12일 국회의원회관 2층 로비에서 열리는 'K-Safety, AI로 학생과 미래를 지키는 학교안전' 행사에 참여해 안전교육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사진=학교안전공제중앙회


학교안전공제중앙회는 11~12일 국회의원회관 2층 로비에서 열리는 'K-Safety, AI로 학생과 미래를 지키는 학교안전' 행사에 참여해 안전교육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더불어민주당 정을호 의원 주최로 학교안전공제중앙회·한국교육시설안전원··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가 공동 주관하며, 국회 현장을 찾은 국민들이 직접 다양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공제중앙회는 부스에서 메타버스와 VR 기술을 접목한 체험형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학생들이 현실 공간과 유사하게 구현된 가상공간에서 통학로 교통사고 등 일상 속 위험 상황을 몰입감있게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 역량과 위기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특히, 교내(교실, 복도, 과학실, 계단 등)와 교외(교통, 등산, 물놀이, 놀이공원 등) 활동을 아우르는 총 13종의 콘텐츠를 제공해 학교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교육효과를 제시한다.

정훈 이사장은 “학교안전은 미래세대에게 반드시 보장해야 할 기본권”이라며 “공제중앙회가 선도하는 K-학교안전 모델을 AI·스마트 기술과 접목해 K-Safety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학생들이 스스로 위험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한국의 학교안전 경험이 세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공제중앙회는 제29회 보건안전포럼에서 '학교 안전사고 현황 및 예방사업 추진방향'을 주제로 김태용 예방연구원장이 발표를 맡아, 학교안전사고의 현주소와 미래 전략을 공유했다.

행사 기간 동안 국회의원회관 로비에는 공제중앙회를 비롯해 △심폐소생술(CPR)·자동심장충격기(AED) 체험 △전자호루라기 시연 △안면 상태 분석 △학교 재난안전 퀴즈 등 총 9개 기관·기업의 안전체험 부스가 운영되고 있다.

2007년 설립된 공제중앙회는 전국 유·초·중·고등학교와 대학 등 2만여 교육기관, 약 580만 명의 학생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학교안전 전문기관이다. 설립 이래 학교안전사고 보상과 예방 사업을 수행하며, '모두에게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