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미국의 소매판매가 긍정적으로 나온 데다 은행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일제히 올랐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58.09포인트(2.15%) 오른 31,288.26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2.78포인트(1.92%) 상승한 3,863.1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01.24포인트(1.79%) 오른 11,452.42로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소매판매 및 경제 지표, 은행 실적 발표 등을 주목했다.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의 소매판매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소식에 개장 초부터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6월 소매판매는 1.0% 늘어난 6천806억 달러로 집계됐다.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 신뢰도를 보여주는 미시간대의 7월 소비자태도지수가 51.1을 기록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지난달 50.0에서 소폭 개선됐다. 12개월 기대 인플레이션도 5.2%로 전월의 5.3%보다 낮아졌고,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8%로 전달의 3.1%에서 하락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7월 1%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30%대로 하락했다.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70% 수준으로 더 우세해졌다.
코스피는 18일 44.27포인트(1.90%) 오른 2,375.25에 장을 마치며 2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다. 13거래일 만의 최고치이자 2,370선 탈환이다. 소매 판매 지표 호조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00bp(1bp=0.01%포인트) 금리 인상 전망 약화에 힘입어 미국 뉴욕증시가 오르면서 코스피도 훈풍을 탔다. 삼성전자는 전날 4.35% 오른 데 이어 이틀째 급등세를 보였다. 이날 종가는 6만1천900원으로 지난달 14일 이후 한 달여 만에 6만1천원대를 회복했다. 코스닥지수는 14.33포인트(1.88%) 오른 776.72에 마감했다.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0.7bp(1bp=0.01%포인트) 오른 연 3.212%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3.270%로 2.8bp 상승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1.1bp 상승, 0.7bp 상승으로 연 3.282%, 연 3.189%에 마감했다.
한동안 하락세를 보이던 비트코인이 다시 크게 반등하고 있다. 미국 경제지표 호조와 기대인플레이션 하락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올라서면서 코인시장 역시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보인다. 알트코인(얼터너티브 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대체 가상화폐) 의 대장코인 이더리움은 더 크게 오르는 중이다.
비트코인(티커:BTCUSD)이 오르면서 자산의 상당 부분을 비트코인으로 보유한 마이크로스트래티지(티커:MSTR) 등이 올랐다. 디지털 결제 업체인 블록(티커:SQ)과 전자 결제 업체 페이팔(티커:PYPL) 도 상승세다.
김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