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현지시간)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지난 며칠간 최소 10억달러(약 1조3600억원)의 신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전력 투구했다.
특히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투자를 유치하려고 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또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바이낸스 외에도 자금 조달을 위해 미국 펀드인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와 접촉했다.
제네시스는 FTX의 파산 여파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 FTX가 파산법(챕터 11)에 따라 파산 신청을 했던 지난 11일 제네시스는 FTX 계좌에 1억7500만달러(약 2378억원)가 묶여 있다고 밝힌 직후 신규 대출과 환매를 중단했다.
파산 우려가 커졌으나 제네시스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당장 파산 신청을 할 계획이 없다"며 "우리의 목표는 파산 신청 없이도 합의를 통해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변인은 "채권자들과 건설적인 대화를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FTX의 붕괴로 다른 거래소뿐 아니라 가상화폐 대부업체들로까지 위기가 확산돼 제네시스 외에도 블록파이 등이 파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보도됐다.
후오비, 불투명한 지배구조 논란
이런 가운데 중국의 대형 가상화폐 거래소인 후오비의 불투명한 소유권 구조 문제도 수면 위로 떠 올랐다.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후오비는 지난달 공동창업자이자 지배적 주주인 리언 리 최고경영자(CEO)가 홍콩의 자산관리사 어바웃 캐피털 매니지먼트에 자신의 지분을 팔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중국 코인 트론(TRON)의 창업자인 쑨위천(孫宇晨·저스틴 쑨)이 10억달러(약 1조3600억원)를 들여 어바웃 캐피털을 통해 후오비의 지분 60%를 취득했다고 익명의 소식통이 밝혔다.
벤처캐피털 세쿼이아 차이나와 젠펀드도 자신들의 후오비 총 지분 28%를 어바웃 캐피털에 매각했다.
쑨위천은 가상화폐를 대부분 금지하는 중국 당국의 조사를 피해 가기 위해 홍콩을 통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후오비 지분 취득을 계속 부인해왔다.
게다가 후오비의 대변인도 쑨위천이 지분을 매입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쑨위천은 후오비 글로벌에서 공식적으로 고문 직책을 맡고 있다.
한편, 추락한 암호화폐 거래소와 다수의 계열사를 합친 현금 잔액이 12억4000만달러(약 1조6808억 원)에 달한다는 FTX그룹 파산신청이 나왔다.
서류에 따르면 20일 현재 최근 집계는 "11월 16일 수요일 현재 채무자들이 입증해야 할 위치에 있었던 것보다 상당히 높은 현금 잔고를 확인한다"고 했다.
또 FTX 변호사들은 바하마에서 FTX 계열사 1곳을 위해 임명된 청산인들이 뉴욕에서 제기한 소송을 델라웨어로 옮기는 데 동의했다고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있는 미국 파산법원에 제출된 서류에서 밝혔다.
팔콘X, 실버게이트 결제망 이용 재개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인 팔콘엑스(FalconX)는 실버게이트 결제망(오전 7시 40분) 이용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팔콘X는 21일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FTX의 붕괴 이후 암호화폐 시장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과 실버게이트의 '와이어 결제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정전이 중단을 촉발했지만 이후 우려가 수그러들었다고 말했다.
김성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de.kim@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