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12조원 투자는 연말 특사 노림수?
시민단체·주주모임·행동펀드 태광 투자계획에 '비난' 일색
시민단체·주주모임·행동펀드 태광 투자계획에 '비난' 일색

26일 업계에 따르면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의 연말 특별사면 대상자 선정에서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등 경제인들은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사면‧복권을 반대하는 이들은 지난 23일 트럭 시위까지 진행했다.

이처럼 태광그룹이 좋지않은 쪽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태광그룹과 같은 사명(社名)을 쓰고 있는 회사들도 반갑지 않은 대중의 시선을 받고 있다. 태광그룹과 같은 이름을 쓰고 있는 주요 회사는 2개가 있다. 하나는 TKG태광(舊 태광실업)이고 코스닥 상장사 중 태광(023160)이란 회사가 있다.
TKG태광은 신발 제조자 개발 생산(ODM) 업체다. 코스닥 상장사 태광은 배관자재, 관, 이음쇠류 제조 판매업과 플랜트 설계 등을 하는 기업이다. TKG태광 관계자는 "사명을 바꾼 후에도 과거 태광실업과 박연차 회장님의 이미지가 워낙 강해서인지 태광실업을 태광산업으로 혼동, 회사 홈페이지나 우리 회사 관련 기사에 안 좋은 댓글을 올리는 경우가 여전하다"고 말했다. 태광 측도 "대뜸 태광 계열사냐고 묻거나 태광산업으로 오해해 부정적 태도를 보이시는 고객들이 있다"며 불편한 심정을 드러냈다.
이호진 전 회장은 지난 2011년 1월 회삿돈 421억 원 횡령 및 법인세 9억여 원 포탈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조세포탈 등)로 구속됐다. 이호진 전 회장은 2019년까지 8년 정도의 기간 동안 법정싸움을 벌여 실형 4년 6개월에서 3년 6개월로 형기를 줄였다.
KBS는 2018년 10월 18일 7년 전 횡령 혐의로 구속기소됐던 이호진 전 회장이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받았으나 보석으로 풀려나면서 실제로 수감돼 있었던 기간은 63일이었다고 보도했다. 2019년 6월 17일에는 이호진 전 회장이 자신의 가족이 지분을 모두 갖고 있는 회사를 위해 태광그룹 계열사에게 김치와 와인을 강제로 사게 했다는 공정거래위원회 조사결과가 나왔다.
태광그룹은 증시에서도 평가가 별로 좋지 않다. 증권가에선 태광산업 주식과 관련해 가격이 높고 거래량이 적다고 지적하고 있다. 주주들은 유동성을 강화하기 위해 액면분할을 요구하고 있으나 태광산업은 답변하지 않고 있다.
행동주의 펀드 트러스톤자산운용은 태광산업의 10조원 투자 계획의 시행 시점과 기대효과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트러스톤 측은 “최근 4000억원에 달하는 흥국생명 유상증자 참여를 검토했던 태광산업이 10년간 10조원 투자와 흥국생명 증자 참여를 모두 실행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태광그룹 대표 회사는 태광산업(003240)이다. 각종 섬유제품을 생산하는 주력 계열사로 연초 주가는 102만9000원이었다. 이날 종가는 76만3천원이다.
때문에 증권가에선 태광산업이 주주들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려 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태광그룹이 ‘큰 빛’이라는 회사 이름과 맞지 않는 행보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이호진 전 회장과 태광그룹이 크게 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형철 태광그룹공동투쟁본부 대표는 “태광그룹은 2000년대 초부터 노조깨기(태광산업, 대한화섬, 흥국생명 노조 무력화)와 일감 몰아주기 등으로 사익을 극대화했으며 황제보석, 정경유착, 배임횡령, 환경훼손, 부당내부거래, 정리해고 등 많은 범죄를 저질렀다”며 “이호진 전 회장 구속 후 검사 출신 임수빈 씨를 사장으로 정도경영위원회를 운영했는데 이 전 회장이 작년 10월 출소하자 두 달 후 위원회는 해체됐다. 보여주기식 경영이 여전하고 반성이 없다. 경영진은 대주주의 거수기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이 대표는 이어 “이호진 전 회장이 제일 먼저 할 일은 18년 넘게 투쟁하고 있는 흥국생명 해고자들과 하청업체 피해자들에게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한다”며 "정부는 악질적이고 불법적인 비리를 저지르는 기업들은 더 이상 존속할 수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태광산업 관계자는 “판결이 난 부분, 잘못한 부분은 겸허하게 수용하겠다”면서도 “사실관계가 와전되거나 부풀려진 것도 있다”고만 주장했다.
곽호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uckykhs@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