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교보증권, CFD 잔액 6180억원으로 업계 1위..."선제적 리스크 관리" 강점

글로벌이코노믹

교보증권, CFD 잔액 6180억원으로 업계 1위..."선제적 리스크 관리" 강점

금융당국, 재발 막기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자료=양정숙의원실이미지 확대보기
자료=양정숙의원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 사태를 유발한 차액결제거래(CFD)의 거래 잔액이 2조8000억원에 육박한 가운데 교보증권이 증권업계에서 거래잔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2월 CFD 거래대금은 4조여원 가량으로 매해 거래 잔액도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10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13개 증권사의 CFD 거래 잔액은 2조7697억원으로 지난해 말 2조3254억원보다 4443억원이 늘었다.

CFD 거래 잔액은 지난 2019년 말 1조2713억원, 2020년 말 4조7807억원, 2021년 말 5조4050억원이었다.
CFD란 실제 투자상품을 보유하지 않고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을 이용한 차익을 목적으로 매매하며 차액을 정산하는 장외 파생상품 거래다.

일부 증거금 납입으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레버리지 거래가 가능하고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아 양도소득세, 지분공시 의무 등 규제 회피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난 3월 말 기준 CFD 거래 잔액이 가장 많은 증권사는 교보증권으로 6180억원이다.

이와 관련해 교보증권 관계자는 "CFD 관련 잔액이나 거래가 많은 것은 사실이나 리스크 관리가 잘 돼서 크게 문제될 상황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키움증권(5576억원) ▲삼성증권(3503억원) ▲메리츠증권(3446억원) ▲하나증권(3400억원) ▲유진투자증권(1485억원) ▲DB금융투자(1400억원) ▲한국투자증권(1126억원) 순이다.

올해 1월부터 2월까지 두 달간 13개 증권사의 CFD 거래대금은 4조666억원에 달했다.

해당 기간 증권사별 CFD 거래대금도 교보증권이 1조83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키움증권 7285억원 ▲유진투자증권 6329억원 ▲메리츠증권 4366억원 등의 순이었다.

뜨거웠던 CFD의 열기는 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로 급속히 냉각되는 추세다.

교보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DB금융투자 등은 CFD 계좌 개설을 차단했으며 관련 이벤트도 모두 종료했다. KB증권은 1인당 거래 한도를 10억원으로 제한했다.

한편 금융당국 또한 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CFD 제도 개선을 선포했다.

11일 금융당국은 CFD와 관련한 3400여개 계좌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선 바 있다.


김보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eeping@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