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진칼은 이명희 고문이 지난 9월 19일 한진칼 지분 1.05%(70만1001주)를 시간외매매로 매도했고 주당 매각가격이 4만2796원으로 나타났다. 당일 장내 매매가보다 비싼 가격에 팔았다.
이명희 고문은 한진칼 주식 매각으로 보유 지분이 3.73%(249만1137주)에서 2.68%(179만136주)로 낮아졌지만 이번 매각으로 3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다.
한진칼 은 이명희 고문의 지분매각으로 조원태 회장을 포함한 특수관계인의 지분이 19.79%(1321만3723주)에서 18.74%(1251만2721주)로 낮아졌지만 한진칼의 경영권 방어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진칼은 지난 2019년과 2020년 KCGI(강성부 펀드)와 경영권 분쟁이 치열했을 당시 지분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늘리기 위해 델타항공과 한국산업은행 등을 우군으로 끌어들였지만 이제는 KCGI로부터 경영권 위협이 사라진 만큼 오너가가 지분 매각에 나설 수 있는 상황을 맞게 됐다.
이명희 고문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종로세무서와 한진칼 주식 95만5512주에 대해 2022년 1월 10일부터 2024년 10월 31일까지 연부납부 담보계약을 체결한바 있다. 또 한진칼 주식 2만8850주와 78만900주에 대해서도 2022년 8월 30일부터 2027년 8월 16일까지 연부연납 담보계약을 맺은 바 있다.
한진칼은 이명희 고문이 주식을 팔고 있는데 반해 국민연금공단은 한진칼 주식을 사들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은 지난해 말까지 한진칼 지분 5% 미만을 갖고 있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지 않아도 됐으나 올해에는 지분 5%를 넘어서면서 지분이 공시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은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한진칼 지분 5.41%(360만9334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은 올해 2월 28일 한진칼 지분 4.93%(331만5590주)를 갖고 있었고 3월 2일 지분 5.01%(337만4820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한바 있다. 이후에도 국민연금공단이 올해들어 꾸준히 한진칼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공단은 한진칼과 KCGI(강성부 펀드)와의 경영권 공방이 한창 진행될 때에는 보유지분이 5% 미만으로 떨어져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주가 급등의 수혜를 제대로 누리지 못한 경험을 갖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은 지난 2019년 4월 9일 한진칼 지분 5.36%(317만1136주)에서 같은 달 16일 지분 4.11%(242만9662주)로 낮춰 지분 1.25%(74만1474주)를 처분했다.
국민연금공단이 당시 매각한 한진칼 주식은 주당 3만4382원에서 4만5909원 수준이었고 한진칼 주가는 경영권 분쟁을 겪으면서 2020년 4월에는 11만1000원까지 오르기도했다.
국민연금공단이 한진칼 주식을 1년 정도만 보관했어도 2배 이상의 가격을 받고 매각할 수 있었지만 섣부른 조기 매각으로 제대로 이익을 챙기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공단은 2019년 4월 16일 이후 한진칼 지분이 계속 5% 미만을 유지하다 올해 3월 2일 지분 5%를 넘어섰고 4년만에 한진칼 지분을 늘리고 있는 모습이다.
국민연금공단의 지난 2019년 당시 미숙했던 한진칼 주식 운용은 주식을 팔 때 제대로 타이밍을 잡지 못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수익률을 내게 됐고 국민연금공단의 이같은 주식 운용이 계속될 경우 국민연금공단의 재원이 점점 부실화되는 결과를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대성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kimds@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