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전쟁 중 디지털 자산 활용 '승부수'
젤레즈니악 의원 "법안 초안 완성 단계…의회 제출 임박"
바이낸스, 입법 과정 '조력자' 역할…정책 자문 제공
젤레즈니악 의원 "법안 초안 완성 단계…의회 제출 임박"
바이낸스, 입법 과정 '조력자' 역할…정책 자문 제공

젤레즈니악 의원 "법안 초안 완성 단계…의회 제출 임박"
15일(현지시각) 암호화폐 전문매체 99비트코인즈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재정 및 조세 정책을 총괄하는 야로슬라프 젤레즈니악 의원은 해당 법안 초안이 거의 완성되어 곧 의회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법안의 핵심 목표는 우크라이나 국립은행이 비트코인을 합법적으로 보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닌, 국가의 중요한 준비 자산으로 비트코인을 인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암호화폐의 소유, 관리, 사용 전반에 걸친 실질적인 법률 제정을 목표로 하는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현재 우크라이나에는 암호화폐를 합법화하는 법률이 존재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프레임워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바이낸스, 입법 과정 '조력자' 역할…정책 자문 제공
다만, 법안 통과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크라이나의 기존 법률 체계가 블록체인 기술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세부적인 조정과 논의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엘살바도르 외 부탄도 '비밀 매집'…미국 일부 도시도 논의
우크라이나의 이번 시도는 비단 한 국가의 독특한 움직임만은 아니다. 앞서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하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부탄 역시 조용히 비트코인 축적을 진행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미국 내 일부 도시에서도 암호화폐 보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상황은 특별하다. 전쟁, 인플레이션, 글로벌 경제 압박이라는 삼중고 속에서도 디지털 자산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이는 단순한 '과감한 시도'를 넘어, 비트코인이 국가의 생존과 안정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강력한 믿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쟁 중 1억 달러 이상 암호화폐 기부…실질적 활용 경험이 동력
우크라이나의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은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다. 러시아와의 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는 국방 및 인도적 지원을 위해 1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기부금을 모금하는 등 디지털 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다. 이러한 실질적인 경험은 정부 내부에 "마법의 인터넷 화폐"에 대한 인식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자산"으로 변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보관 방식·관리 주체 등 과제 산적…글로벌 선례 될지 주목
앞으로 우크라이나가 비트코인을 국가 준비금으로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비트코인 보관 장소, 키 관리 주체, 가격 변동성 관리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가 이러한 질문을 던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법률 제정을 시도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한 진전이라는 평가다.
우크라이나의 이번 시도가 전 세계적인 모범 사례가 될지, 아니면 또 다른 경고의 메시지가 될지는 앞으로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이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