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의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을 대상으로 한 IMA 지정 심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지난 7월 신청 이후 사실조회와 법률검토, 현장 실지조사 절차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증권선물위원회 심의와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이달 내 결과가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
업계에서는 두 대형 증권사가 공동으로 1호 IMA 사업자에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두 회사 모두 자기자본 8조 원 이상으로 요건을 충족하고, 기업금융(IB)과 대체투자 분야에서 이미 다양한 경험을 축적한 만큼 제도 정착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평가다.
IMA는 증권사가 고객 예탁금을 기업금융 관련 자산(70% 이상)에 투자하면서 원금 지급 의무를 지는 새로운 형태의 투자계좌다. 단기 예금처럼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기업금융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다. 투자자는 손실 위험 없이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증권사는 안정적인 장기자금을 확보해 기업금융과 벤처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기대감이 높다.
그는 "대형 투자은행(IB)이 발행어음과 IMA를 통해 안정적 자금조달 기반을 갖추면, 민간이 혁신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토대가 넓어진다"며 "자산운용사와 사모펀드(PEF) 역시 책임투자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이에 맞춰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증권사의 종투사 지정과 발행어음 인가 절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키움증권·하나증권·신한투자증권은 외부평가위원회 심사와 실지조사를 이미 마쳤으며, 9월 말 신청한 NH투자증권은 고위 임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 등 내부통제 이슈로 심사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삼성증권과 메리츠증권은 심사 속도가 다소 더딘 상태다.
금융위는 IMA 및 발행어음 사업자가 조달한 자금의 25% 이상을 모험자본에 공급하도록 의무화했다. 이를 통해 벤처·혁신기업 중심의 자본 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목표이나, 지난해 말 기준 종투사의 모험자본 공급 비율이 총자산 대비 2.23%에 그친 만큼 제도 실효성 확보가 관건으로 지적된다.
이 위원장은 "공모형 펀드와 코스닥벤처투자펀드(코벤펀드)를 활성화해 국민이 소액으로도 초기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가 내년 3월부터 본격 시행되면 일반 투자자들도 비상장 기업 성장의 과실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PEF 투자에도 국민 눈높이에 맞는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겠다"며 "스튜어드십 코드의 범위를 확대하고, 수탁자 충실의무를 강화해 신뢰받는 자본시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IMA 지정이 단순한 사업 허가를 넘어 금융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IMA 제도는 결국 기업 대출 중심이던 자금조달 구조를 '시장 중심형'으로 옮기는 출발점"이라며 "정부의 속도전이 현실화되면, 모험자본 공급뿐 아니라 IB 경쟁력 강화에도 큰 자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