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식모기와 사용법 동일하게 10회 연속 모낭이식
2~3시간 이상 걸리던 수술을 1시간 반 수준으로 줄여
2~3시간 이상 걸리던 수술을 1시간 반 수준으로 줄여
이미지 확대보기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경북대학교 모발이식센터, ㈜오대금속과 공동연구를 통해 수술시간을 30~5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연발형 식모기(植毛機)를 개발했다고 19일 발표했다.
모발이식은 ‘식모기(모발이식기)’를 이용해 뒷머리에서 채취한 모낭을 탈모 부위에 삽입하는 수술법이다.
이 수술법은 이식 속도가 빠르고 모낭 손상이 적으면서도 모발 생착율이 높아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남성형 탈모 환자 수술 1회당 2~3천 개의 모낭 삽입이 이뤄지다보니 수천 회의 식모기 교체 동작이 필요해 환자가 견뎌야 할 수술시간도 길어지고 시술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연구진이 개발한 연발형 모발이식기에는 바늘 10개가 장착되어 있다.
모낭 하나를 이식할 때마다 리볼버 권총처럼 카트리지가 자동으로 회전하며 바로 다음 이식을 할 수 있다.
즉, 한 번에 모낭 10개를 연달아 심을 수 있어 식모기 교체 횟수를 10분의 1로 줄이고 수술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 기술은 경북대학교병원 모발이식센터에서 8차에 걸친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사용상 결함이나 안전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기존의 수동식모기를 활용하면서도 모터 등 별도 전기장치 없이도 바늘을 공급하게 만들어 의사들이 새로운 기기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ETRI는 이전에도 이식기에서 바늘을 분리해 교체할 수 있는 식모기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바늘과 식모기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구조로 설계하며 시술 및 장비 안정성을 높였다.
바늘 개수도 더 늘릴 수 있지만 시술 과정에서 회복 시간을 고려해 식모기를 최적 시점에 교체할 수 있도록 10개로 바늘 개수를 설정했다.
연구진의 연발형 식모기는 지난 5월 대한모발이식학회에서 국내에 처음 선보인 후, 11월에 태국에서 개최된 국제모발이식학회를 통해 해외에 소개되었다.
ETRI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장비를 개발한 ㈜오대금속은 GMP 및 의료기기 제조인증(KFDA)과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록을 마쳤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김규형 ETRI 의료IT융합연구실장은 “대구·경북권 중견기업인 ㈜오대금속과 함께 혁신 의료기기를 개발해 큰 의미가 있다. 탈모 환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는 한편, 기술 보급 및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향후 식모기 장비 비용을 낮추고 식모 과정을 전 자동화를 이룰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대경권 지역산업기반 ICT융합기술 고도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국내외 특허 10건, 논문 4편, 기술이전 4건 등의 성과를 냈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락하며 5만2000엔 ‘붕괴’...이익실현...](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