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소 2015년 330기에서 올해 5월 21만5147기로 늘어
잦은 고장 등 관리소홀, 수요 무시한 설치 등은 해결할 문제
잦은 고장 등 관리소홀, 수요 무시한 설치 등은 해결할 문제

구체적으로 2015년 330기에 불과했던 충전기는 2018년 2만9316기, 2019년 4만4792기, 2022년 20만5205기로 증가했다. 전력거래소는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이용 현황 분석' 보고서에서 "충전기 1기당 전기차 대수는 약 2대로 주요국과 대비하여 우수한 편"이라고 분석했다.
평균 수리 시간도 빨라졌다. 지난 19일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공공 전기차 급속충전기 고장 신고는 1664건(동일 충전기 동일자 중복 신고 제외)이고 수리에 걸린 시간은 평균 3.2일이었다. 올해 고장 충전기 평균 수리 기간은 지난해와 비슷했고 지난 2021년과 비교해서는 5분의 1 수준으로 짧아졌다.
하지만 잦은 고장 등 관리 소홀은 여전히 문제다. 우선 충전소는 많지만, 고장으로 인한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전기차를 이용하는 A씨는 "집에서 전기차 충전을 하지 못해 쇼핑센터·공영주차장 등에 충전기가 보일 때마다 충전해서 사용하고 있다"며 "하지만 절반 이상은 고장이 난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리 기간이 줄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고장으로 인한 문제로 충전기 사용이 제한된 곳이 상당한 것이다.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설치도 해결해야 할 문제로 꼽힌다. 전기차가 많이 보급된 지역 또는 장소에 충전소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금을 받기 위해 전기차 수요가 있지 않은 곳에도 충전소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전기차 고객들이 이용하는 충전소는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김성태 한국전기차사용자협회장은 "국내의 경우 전기차 충전소는 잘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수요와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생겨나고 있다. 또 운영되는 24시간 중 실제 사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곳도 있다"며 "설치 위치가 과연 수요·공급이 맞는지를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전기의 1년치 사용량을 분석해 관리가 안 되어 있다면 보조금을 줄이는 등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