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화 산업 죽어가…국가 안보 위협"
외신 "해외 촬영이 대부분…악영향 우려"
외신 "해외 촬영이 대부분…악영향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품을 넘어 콘텐츠 상품인 영화에도 높은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각 4일 소셜 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다른 나라들이 조직적으로 미국 영화인들을 영입하는 등 국가 안보 위협 행위를 해 미국 영화 산업은 죽어가고 있다"며 "상무부와 무역대표부에 외산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이 앞서 시행한 국가별 관세 정책은 대체로 실제 제품에 한정됐다. 영화 사업은 미국에서 서비스로 분류되며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한 '100%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관세 전쟁의 범위가 서비스, 나아가 문화 콘텐츠 영역으로 확대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현지 외신들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CNN은 "미국 영화 산업의 위기는 팬데믹 이후 가내 스트리밍 시청 습관이 확산됐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며 스트리밍 플랫폼 상당수는 할리우드가 소유하고 있다"며 "많은 미국 영화, 드라마들이 세금 감면, 인건비 등 이유로 해외에서 촬영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새로운 관세는 오히려 이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연예 전문 매체 더 할리우드 리포터 역시 올해와 내년 상반기 개봉을 앞둔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아바타: 불과 재', '어벤져스: 둠스데이', '슈퍼걸: 우먼 오브 투모로우' 등이 모두 해외에서 촬영했거나 진행 중이라는 점을 들어 "이들이 관세 유예 기간에 포함될지, 관세 부과 대상이 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