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무디스의 美 신용등급 강등에서 배울 점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무디스의 美 신용등급 강등에서 배울 점

무디스가 1917년 국가신용등급을 매기기 시작한 이후 108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등급을 최상위에서 한 단계 강등 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무디스가 1917년 국가신용등급을 매기기 시작한 이후 108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등급을 최상위에서 한 단계 강등 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재정적자는 지난 회계연도 기준 1조8300억 달러 규모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6.4%다. 지난해 6%를 넘은 미국 재정적자는 중장기적인 의무 지출의 결과다.

미국 국가부채 잔액도 36조 달러를 넘어섰다. 한화로 환산하면 5경원이 넘는 규모다. 정부부채 이자를 갚는 데만 우리나라 4년치 예산을 쏟아부어야 할 정도다. 무디스가 1917년 국가신용등급을 매기기 시작한 이후 108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등급을 최상위에서 한 단계 강등한 이유다.

미국 신용등급 조정은 이미 지난해에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바꾸면서 예고한 바 있다. 미국의 심각한 국가부채를 ‘회색 코뿔소’로 단정한 셈이다.

트럼프 2기 정부의 공공 예산 감축과 관세정책에도 미국 재정적자가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자 등급을 강등한 것이다. 올 회계연도 미국 재정적자는 2조 달러를 웃돌 전망이다.
트럼프 정부의 감세를 통한 미 제조업 부활 정책은 효과를 내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가 모두 미국의 신용등급을 최고에서 한 단계씩 낮춘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P는 2011년에 미 신용등급을 낮췄고, 피치도 2023년 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달러 기축통화국인 미국에 최고 평점을 줘왔던 무디스도 더 이상 미국의 재정적자 개선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평가에 이른 것이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은 국채금리를 상승시켜 재정 부담을 키울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무디스의 발표 직후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4.484%로 급등했다. S&P의 미 국가신용등급 강등 당시만큼 채권시장에 충격을 줄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안전자산인 미 국채 가격의 하락은 글로벌 국채는 물론 주가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한국 경제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도 어려운 시기다. 포퓰리즘 공약은 국가부채 증가와 신용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교훈을 되새길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