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가 자사 AI 기술을 웹 브라우징 경험 전반에 통합한 브라우저를 수주 내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10일(이하 현지 시각) 보도했다. 이 브라우저는 채팅형 인터페이스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AI 에이전트 기능을 통합해 사용자의 웹 활동을 능동적으로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이터에 따르면 오픈AI의 브라우저는 기존 웹사이트를 클릭해 들어가는 방식에서 벗어나 많은 사용자 작업을 자체 채팅 인터페이스 안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크롬의 기본 검색·광고 구조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크롬은 전 세계 브라우저 시장의 3분의 2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검색 데이터를 통해 알파벳의 광고 사업을 지탱하는 핵심 자산이다.
이 브라우저는 구글이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 ‘크로미엄’ 위에 구축됐으며 브레이브·엣지 등 다른 경쟁 브라우저들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오픈AI는 이미 지난해 구글 크롬 초기 개발팀 출신 부사장 두 명을 영입한 바 있다.
오픈AI는 지난 5월 하드웨어 스타트업 ‘io’를 65억 달러(약 8조9200억 원)에 인수하며 AI 기기 사업에 진출한 데 이어 이번 브라우저 출시를 통해 본격적인 생태계 확장에 나서는 모습이다.
신제품은 오픈AI의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Operator)’를 브라우저에 직접 통합함으로써 사용자를 대신해 웹사이트 내 예약·양식 입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AI가 웹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실행까지 도와주는 구조다.
한 소식통은 “오픈AI는 단순한 브라우저 플러그인이 아니라 자체 브라우저를 직접 개발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보다 정밀하게 확보할 수 있는 길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현재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가 ‘코멧(Comet)’이라는 AI 브라우저를 출시했고, ‘더 브라우저 컴퍼니’ ‘브레이브’ 등도 AI 기능을 강화한 브라우저를 내놓고 있어 브라우저 시장의 경쟁 구도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