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中 선박 항만 수수료 부과 임박...상위 10개사 32억 달러 타격

글로벌이코노믹

美, 中 선박 항만 수수료 부과 임박...상위 10개사 32억 달러 타격

10월 14일부터 시행...코스코 단독 15억 달러 부담 전망
중국, 차별 조치 대응 법령 서명...트럼프-시진핑 APEC 회담 주목
독일 함부르크 항구 컨테이너 터미널 톨레로르트에서 중국 해운사 코스코의 화물선 코스코해운 제미니가 선적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독일 함부르크 항구 컨테이너 터미널 톨레로르트에서 중국 해운사 코스코의 화물선 코스코해운 제미니가 선적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이 중국과 연계된 특정 선박에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는 조치 시행을 일주일 앞두고 있다. 이 조치로 내년 상위 10개 해운사는 32억 달러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해에서 중국의 지배력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는 조치라고 8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S&P는 이번 주 보고서에서 "일부 관찰자들은 광범위한 협상의 일환으로 10월 14일 기한이 연장되거나 심지어 폐기될 수 있다고 믿고 있지만, 불확실성은 이미 항공사를 불안하게 만들었고 함대 배치 전략에 또 다른 지정학적 위험을 가중시켰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기업이 건조, 소유 또는 운영하는 선박에 부과되는 수수료가 미국 조선업을 되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장기 자금 조달을 지시하는 법안이 초당적인 강력한 지지를 받아 미국 의회를 통과하고 있다.

지난주 말 업데이트에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선주들에게 수수료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책임이 기관이 아닌 선주에게 있음을 알렸다. USTR은 "선박이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책임은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아니라 운영자에게 있다"고 밝혔다. 또한 수수료는 입국항이 아닌 재무부 Pay.gov 웹사이트를 통해 납부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 법인이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선박은 미국 항해당 순 톤당 80달러의 고정 요금을 부과받게 된다. 중국산 선박의 비중국 운영자에게는 순 톤수당 23달러 또는 20피트 등가 단위 용량당 154달러 중 더 높은 금액이 부과된다. 두 수수료 모두 선박에 대해 1년에 5회 이상 부과되지 않는다고 해양 기술 및 데이터 제공업체 알파라이너가 밝혔다.

업계의 격렬한 반발에 따라 USTR은 초기 제안에서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고, 미국에 기반을 둔 많은 사업자를 면제하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대한 수수료 일정을 연장했다. 반면 미국 국적 선박을 제외하고 롤온/롤오프 자동차 운송선을 건조한 모든 국가를 포함하도록 수수료를 확대했다.

알파라이너는 중국 항공사 코스코(COSCO)가 OOCL을 포함해 수수료에 가장 많이 노출된다고 추정했다. 코스코의 수수료는 내년에 15억 3,000만 달러에 달할 수 있으며, 이는 상위 10개 화물 운송업체에 예상되는 32억 달러의 거의 절반에 해당한다.

프랑스 CMA CGM을 포함한 다른 많은 항공사들은 수수료를 피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을 재배치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운 업계가 미국의 새로운 규제에 대응해 함대 배치 전략을 조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중국은 이에 대응했다. 리창 총리는 중국 선박이나 승무원에 대한 차별적 조치에 대한 대응 조치를 약속하는 법령에 서명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조치가 자국 해운 산업에 대한 불공정한 차별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0월 말부터 11월 1일까지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만날 예정이다. 이 회담에서 항만 수수료를 포함한 무역 갈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간 해운 갈등은 양국의 광범위한 무역 전쟁의 일부다. 미국은 중국이 정부 보조금을 통해 조선 산업을 지원하며 불공정 경쟁을 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작년 미국 조선소는 10척 미만의 상업선을 건조한 반면, 상업용 선박과 군용 선박을 모두 건조하는 중국 조선소는 1,000척이 훨씬 넘는다.

미국의 항만 수수료 부과는 자국 조선업을 보호하고 중국의 해운 지배력을 견제하려는 의도지만,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을 초래하고 운송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중국 해운사들이 미국 항로를 피하거나 비중국 선박으로 대체하는 등 우회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이는 운송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물류비용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어떻게 논의될지, 그리고 수수료 시행이 예정대로 진행될지 주목하고 있다. 협상을 통한 타협이 이뤄지지 않으면 글로벌 해운 시장의 재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