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형 인공지능(AI) 반도체 업체 브로드컴 주가가 13일(현지시각) 폭등세를 기록했다. 엔비디아와 AMD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최근 AI 반도체 3사 주가를 쥐락펴락하는 오픈AI가 이번에도 브로드컴 주가 폭등의 배경이었다.
오픈AI와 브로드컴은 이날 맞춤형 AI 가속기 10기가와트(GW) 규모를 공동 개발 생산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내년 하반기 설치 시작
10GW 규모 AI 반도체를 생산해 이를 바탕으로 거대한 AI 슈퍼컴퓨터(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각자 역할 분담도 했다.
오픈AI는 특정 AI 업무에 최적화된 ‘맞춤형 반도체(ASIC)’를 설계하게 된다. 엔비디아 그래픽반도체(GPU) 의존도를 줄이고, 컴퓨팅 비용을 낮추며, 맞춤형으로 컴퓨팅 성능은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다.
브로드컴은 이렇게 설계된 반도체를 대만 TSMC 같은 파운드리 업체에 맡겨 생산토록 하고, 무엇보다 AI 가속기를 둘러싼 주변 기술과 설계 역량을 발휘할 계획이다.
브로드컴의 네트워킹과 통합, 설계 역량은 이미 구글의 TPU(텐서 처리 장치) 개발 과정에서 입증됐다.
브로드컴은 오픈AI가 설계한 반도체를 대규모로 연결해 거대 AI 데이터센터로 작동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한다.
AI 가속기는 AI 연산을 담당하는 두뇌로 반도체 수십만개로 구성된다. 무엇보다 이 반도체 사이에 초고속 통신망이 필수적이고, 이 통신망 핵심이 바로 브로드컴이 제공하게 될 이더넷과 연결 솔루션이다.
양사는 내년 하반기에 이 AI 시스템 설치를 시작해 2029년에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돈 문제에 관해서는 함구했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들을 인용해 양사 협력이 수십억 달러짜리라고 보도했다.
AI 쥐락펴락 오픈AI
오픈AI는 최근 AI 관련주, 특히 AI 반도체 종목들의 주가 흐름을 좌우하는 결정적 변수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 11월 챗GPT-3.5를 공개하며 본격적인 AI 시대를 연 개척자답게 시장 흐름을 좌우하는 큰 손이 된 것이다.
이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스페이스X를 제치고 기업가치로 세계 최대 스타트업으로 부상한 오픈AI는 지난달 초부터 시장 영향력을 급격히 높이기 시작했다.
시작은 이날 공동 발표에 나선 브로드컴이었다.
브로드컴은 9월 5일 오픈AI의 ASIC 생산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발표해 당일 주가가 9% 넘게 급등했다.
오픈AI는 닷새 뒤인 10일에는 오라클과 3000억 달러 규모 데이터센터 공급 계약을 맺었다. 오라클의 데이터센터를 오픈AI가 이용하는 계약이다. 양사는 미국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이른바 ‘스타게이트’ 협력사이기도 하다.
9월 22일에는 엔비디아가 협력사로 등장했다. 엔비디아는 오픈AI에 최대 1000억 달러를 투자하고, 오픈AI는 엔비디아 반도체로 데이터센터를 짓기로 했다.
이달 들어서는 지난 6일 AMD로부터 소식이 들려왔다. AMD는 오픈AI에 AI 반도체를 수년간 공급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AMD는 특히 이 계약에 오픈AI가 AMD 지분 최대 10%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발표 당일 AMD 주가는 23.7% 폭등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