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원, 누적 내려받기 3.8억건 돌파… 美 라마 첫 추월
에어비앤비·커서 등 美 스타트업, "빠르고 저렴하다" 잇단 채택
에어비앤비·커서 등 美 스타트업, "빠르고 저렴하다" 잇단 채택
이미지 확대보기미국 기술 혁신의 심장부인 실리콘밸리에서 AI의 상당 부분이 중국 기술에 기초하고 있다는 '미묘하지만 중대한' 흐름이 드러나고 있다. 가격 경쟁력과 성능을 앞세운 중국의 오픈소스 AI가 국경을 넘어, 미국의 빅테크가 주도하던 시장 구도를 흔들고 있으며 실제 사용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파이낸셜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AI 경쟁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단언했다가, 이후 "미국이 나노초(nanoseconds) 뒤처져 있을 뿐"이라며 발언 수위를 조절한 바 있다. 그는 "미국이 앞서나가고 전 세계 개발자들을 확보함으로써 정상에 오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CEO의 우려처럼, 개발자 확보를 둘러싼 보이지 않는 전쟁은 이미 중국 모델들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며 미국에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을지 모른다. 저비용의 중국산 오픈소스 AI 모델이 세계 사용자는 물론 실리콘밸리 기업들까지 조용히 사로잡고 있는 정황이 뚜렷하다.
"오픈AI 대신 쓴다"…에어비앤비의 '공개 고백'
에어비앤비의 브라이언 체스키 CEO 역시 놀라운 고백을 했다. 그는 자사 앱을 오픈AI의 챗GPT와 통합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대신, 12개 이상의 다양한 AI 모델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알리바바의 '큐원(Qwen)' 라인업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며 "매우 훌륭하고, 빠르며 저렴하다"고 평가했다. 체스키 CEO가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와 절친한 관계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주목할 만한 발언이다.
오픈AI의 전 최고기술책임자(CTO) 미라 무라티가 설립한 '싱킹 머신스 랩' 역시 최근 연구가 알리바바 '큐원3' 팀의 작업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기반으로 구축했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인정했다.
더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변화가 수면 아래에서 더욱 미묘한 방식으로 뿌리내리고 있다는 점이다. 100억 달러(약 14조 원) 가치의 AI 코딩 스타트업 '커서(Cursor)'가 지난달 출시한 새 어시턴트 버전을 두고, 업계에서는 '딥시크(DeepSeek)'와 같은 중국 AI를 기반으로 했을 것이란 추측이 무성하다. 한 기술 투자자가 "사용 중 어시턴트의 내부 독백이 중국 표준어(만다린)로 바뀌었다"고 지적한 것이 발단이었다.
또 다른 100억 달러(약 14조 원) 가치의 미국 스타트업 '코그니션 AI(Cognition AI)' 역시 '지푸 AI(Zhipu AI)'의 기본 모델을 바탕으로 새 코딩 에이전트를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의혹이 제기되자 지푸 AI 측은 "생태계에 대한 오픈소스 기여의 긍정적인 영향과 가치를 강조한다"는 트윗을 올려 사실상 이를 시인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이들 중국 AI 모델은 허용적인 라이선스(개방형 라이선스) 정책 덕분에 다른 기업들이 자유롭게 제품을 개발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큐원 3.8억건 > 라마 3.4억건…역전된 데이터
오픈소스 AI 지지 연합 'ATOM 프로젝트'가 AI 플랫폼 '허깅페이스'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이러한 추세를 수치로 증명한다. 개발자 누적 내려받기 수에서 중국 모델이 미국을 추월한 것이다. 2024년 초, 메타의 'Llama(라마)'가 1060만 건, 알리바바의 '큐원'이 50만 건에 불과했으나, 지난달 기준 큐원은 3억8530만 건의 누적 내려받기를 기록하며 3억4620만 건의 라마를 역전했다. 허깅페이스에 게시되는 신규 언어 모델 중 큐원 기반 파생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은 40% 이상으로 급증한 반면, 메타의 점유율은 15%로 하락했다.
물론 중국 AI 도구 사용에 대한 지정학적 우려(중국 공산당 이데올로기 반영 가능성)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코딩 및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 개발자들에게는 저렴한 비용과 빠른 처리 속도 같은 현실의 이점이 이러한 우려를 압도하고 있다. 또한, 오픈 모델은 개별 환경에서 내려받기 및 미세 조정이 가능해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불안을 완화하는 요인이 된다.
젠슨 황 CEO의 말처럼 승자를 선언하기엔 이르다. 미국은 여전히 최첨단 칩과 컴퓨팅 성능이라는 확실한 이점을 쥐고 있으며, AI 기초 연구에서도 강력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AI 혁신의 근간인 개발자들을 끌어모으려는 베이징의 저비용·오픈소스 전략은 분명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는 세계 AI 경쟁의 지형을 바꾸고 있으며, 워싱턴이 앞으로도 주도권을 유지하려면 실리콘밸리 내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2026 대전망] 2026 지속가능발전 5대 지지대 전망](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70901020930835e857d010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