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89% "향후 3년 실적 타격" 전망...중소기업 4개월간 평균 9만 달러 납부
"R&D·공장투자 올스톱"...준수비용만 수백억 달러·무역전문가 인력난 심각
"R&D·공장투자 올스톱"...준수비용만 수백억 달러·무역전문가 인력난 심각
이미지 확대보기폴리티코는 16일(현지시각) 미국 기업들이 트럼프 관세 체계를 따르는 데 수천만 달러(수백억 원)를 쓰고 있으며, 이는 올해 공화당이 통과시킨 법인세 감면 혜택을 상쇄할 정도라고 보도했다.
관세 복잡화로 준수 비용만 수백억 달러 육박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년간 기존 미국 관세 체계를 전면 개편했다. 과거 대부분 국가에 동일하게 적용하던 수십 년간의 관세 시스템을 수입 제품 원산지에 따라 관세율이 천차만별인 복잡한 체계로 바꿨다.
예를 들어 과거 대체로 5%의 균일한 관세율이 적용되던 산업용 제품은 현재 유럽연합(EU)이나 일본산은 15%, 노르웨이와 다수 아프리카 국가는 20%, 동남아시아 국가는 24~25%, 인도·브라질·중국산은 50% 이상의 관세가 부과된다.
전문서비스업체 KPMG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최고경영자(CEO) 89%는 관세가 향후 3년간 자사 실적과 운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 86%는 필요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 가격을 인상해 대응하겠다고 답했다.
또 다른 전문서비스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의 메이티 페레이라 상무는 "많은 고객사가 조직 전반에서 관세 관련 논의에 시간의 30~60%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
S&P 글로벌은 지난달 기업들이 올해 관세로 최소 1조2000억 달러(약 1746조 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며, 이 중 3분의 2는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으로 추산했다.
"혁신 대신 관세 대응"...R&D 투자 올스톱
소비자기술협회(CTA)의 게리 샤피로 CEO는 "올해는 국내 대부분 CEO에게 지치는 한 해였다"며 "경영진이 투입한 시간이 엄청났다. 혁신에 집중하는 대신 관세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초점을 맞췄다"고 지적했다. CTA는 아마존, 월마트, AMD 등 주요 브랜드를 포함해 1300개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
페레이라 상무는 "무역 전문가가 정말 부족하다"며 "무역팀 직원을 잃은 고객사와 매일 통화하지 않는 날이 없다. 그런 자원과 기술을 가진 인력에 대한 수요가 새롭게 생겨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익명을 요구하며 "사람들이 R&D에 돈을 쓸 수 없다고 말한다"며 "미국에 새 공장을 짓는 데도 돈을 쓸 수 없다. 의사결정에 필요한 확실성이 없다"고 토로했다.
밀켄연구소 지정학경제구상(Geo-Economics Initiative)의 매튜 알레셔 소장은 "일부 기업과 투자자에게는 코로나19 초기 겪었던 어려움과 비슷한 수준일 수 있다. 다른 기업들에게는 조금 덜할 수도 있고, 또 다른 기업들에게는 더 복잡할 수도 있다. 확실한 건 시간과 역량을 상당히 잠식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 '직격탄'...대법원 소송 진행 중
중소기업주들은 특히 각종 관세 규칙과 세율을 따라잡기가 벅차다고 호소했다.
아이다호주에서 여성용 야외 의류를 판매하는 와일드라이(Wild Rye)의 캐시 아벨 CEO는 중소기업 연합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더 이상 제품 혁신에 투자하지 않고, 신규 채용도 하지 않으며, 성장에도 투자하지 않는다. 이 상황에서 살아남으려고 돈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아벨 CEO는 직원들이 "제품 조달처를 바꾸고, 생산을 중단했다가 재개하고, 급히 서두르고, 가격 분석, 비용 분석, 배송 분석을 하느라 수백 시간을 썼다"며 "이 정부 이전에는 관세에 단 1분도 쓰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중소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미국 노동력의 거의 절반을 고용하고 있다. 미국 진보진영 싱크탱크 미국진보센터(CAP)는 수입 물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들이 올해 4~7월에만 평균 9만 달러(약 1억 3000만 원) 이상의 관세를 부담한 것으로 추산했다.
중소기업들이 느끼는 곤경의 징표로, 이들은 트럼프 정부가 관세 부과 근거로 삼은 1977년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의 위헌성을 다투는 연방 대법원 소송의 선봉에 섰다.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 본사를 둔 가족 경영 전자제품 판매업체 크러치필드는 대법원에 제출한 법정조언서에서 "관세가 한 사람의 변덕스러운 변화에 따라 부과되고, 인상되고, 인하되고, 유예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면 크러치필드는 단기는 물론 장기 계획을 세울 수 없다"며 "법원이 혼란을 진정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백악관 대변인은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다만 트럼프 정부는 이전에 관세를 국내 제조업 진흥의 핵심이자 전반적인 경제 의제인 세금 감면 및 규제 완화와 함께 중요하다고 옹호해 왔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번 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이런 시설들이 당장 가동되도록 마법처럼 해결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시간이 걸린다"며 "2026년이 대박 해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실리콘 디코드] 'AI 지각생' 인텔의 새 수장, 립부탄의 3100명 ...](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710180903958fbbec65dfb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