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제유가, 2027년 배럴당 30달러대까지 추락할 것"…공급 과잉 280만 배럴 덮친다

글로벌이코노믹

"국제유가, 2027년 배럴당 30달러대까지 추락할 것"…공급 과잉 280만 배럴 덮친다

JP모건·골드만삭스 "원유 공매도하라"…브라질·가이아나 생산 급증 변수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향후 2~3년간 국제 유가가 배럴당 30달러대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파격 전망을 내놓았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향후 2~3년간 국제 유가가 배럴당 30달러대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파격 전망을 내놓았다. 이미지=GPT-4o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향후 2~3년간 국제 유가가 배럴당 30달러대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파격 전망을 내놓았다. 미국 배런스와 오일프라이스는 24일(현지 시각) JP모건과 골드만삭스의 분석을 인용해 원유 공급 과잉이 심화하면서 유가가 현재 수준의 절반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공급 폭증에 수요 따라잡지 못해


JP모건 글로벌 원자재 책임자 나타샤 카네바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원유 공급이 수요를 하루 130만 배럴 초과했으며, 2026년에는 초과 공급량이 280만 배럴, 2027년에는 270만 배럴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 세계 원유 시장 규모가 하루 약 1억600만 배럴인 점을 감안하면 2~3%에 해당하는 공급 과잉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카네바는 "향후 2년간 전망은 기본적인 산술 문제"라면서 "원유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공급이 수요보다 두 배 이상 빠르게 늘고 있어 시장을 압도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제 유가는 올해 들어 15% 하락했다. 24일 브렌트유는 배럴당 63.37달러에 거래됐다.

JP모건은 브렌트유 가격을 2026년 58달러, 2027년 57달러로 예상했다. 카네바는 "배럴당 51달러 수준이 되면 많은 미국 셰일 생산업체가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해 생산을 줄일 수밖에 없다"면서 "이 같은 시장 조정이 없다면 유가가 30달러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배럴당 40달러 아래로 내려가면 미국의 대부분 원유 프로젝트가 수익성을 잃는다.

브라질·가이아나 생산 증가 주목


공급 증가를 이끄는 주역은 중남미다. 지난 3년간 미국 셰일 굴착이 원유 생산 증가의 최대 원동력이었지만, 앞으로는 다른 국가들의 프로젝트가 그 자리를 대신할 전망이다.

브라질과 가이아나의 대규모 해양 유전 프로젝트가 2026년과 2027년 원유 공급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나라는 매년 50만~70만 배럴의 추가 생산 증가분을 시장에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이미 공급 과잉 상태인 시장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골드만삭스는 더욱 비관적이다. 이 투자은행의 원자재 리서치 공동 책임자인 단 스트루이븐은 지난주 CNBC와 한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은 지금 당장 원유 공매도에 나서야 한다"고 권고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가격이 2026년 평균 배럴당 53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평균 공급 과잉은 하루 200만 배럴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정부 제재 강화 가능성 변수


하지만 카네바는 생산업체들이 이 같은 수준의 공급 과잉을 방치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과 수요 양쪽에서 조정이 예상되지만 균형 회복의 가장 큰 부담은 거의 확실히 공급 측면에 떨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과 러시아에 대한 제재 집행을 강화해 시장에서 원유 공급을 줄일 가능성도 있다. 저유가는 이 같은 제재 조치를 정당화하는 명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스트루이븐은 "2026년이 현재의 대규모 공급 물결이 시장을 통과하는 마지막 해가 될 것"이라면서 "시장은 2027년에 재균형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했다. OPEC 플러스와 비OPEC 생산국들의 공급 물결이 2026년을 정점으로 완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이 타결될 경우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제재가 완화되면서 에너지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지난 일요일 제네바에서 "매우 생산적"인 회담을 열고 평화 계획에 대한 집중 작업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