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현재의 인공지능(AI) 기술만으로도 미국 전체 근로시간의 약 57%가 자동화될 수 있지만 이는 곧바로 대규모 실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고 미국계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앤컴퍼니가 최신 보고서에서 전망했다.
25일(현지시각) 경제 전문지 포춘에 따르면 맥킨지는 ‘AI 시대의 기술 파트너십’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서 인간·AI 에이전트·로봇이 협력하는 방식이 앞으로 일터의 일반적인 모습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
◇ 기술은 바뀌어도 인간의 역량은 남는다
보고서는 현재 구인 시장에서 요구되는 기술의 약 70%가 자동화 가능한 업무와 그렇지 않은 업무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쓰인다는 점을 들어 기술 변화 속에서도 인간의 능력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핵심은 자동화 아니라 ‘업무 재설계’
맥킨지는 AI 도입을 위해서는 단순히 개별 작업을 자동화하는 수준을 넘어 전반적인 업무 흐름을 다시 설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람·에이전트·로봇이 효율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와 조직 문화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최근 2년 사이 미국에서 AI를 잘 다룰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채용 수요가 7배 넘게 늘었다는 점은 AI와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이 노동시장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 AI가 만든 부가가치, 2030년까지 2조9000억 달러
그러나 이런 경제 효과는 단순한 기술 투입만으로는 실현되지 않으며 기업과 정부, 교육 기관이 사람들을 새로운 형태의 일에 적응하도록 준비시키는 데 성공해야만 가능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계산기가 수학자를 없애지 않고 더 높은 수준의 문제 해결로 안내했듯 AI 역시 인간을 대체하기보다는 인간이 더 복잡한 판단과 조직의 중심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2026 대전망] 기술 주권과 산업 안보](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617593403203c35228d2f510625224987.jpg)
![[특징주] 에코프로 등 2차전지주, 리튬 가격 저점 통과에 '급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61646000788444093b5d4e211173710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