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현 의원, “많은 시민 이용 지하철역사 라돈 대책 시급하다
미연방환경청(EPA)에 따르면 기준 초과 역사 13개로 크게 늘어
성신여대입구역·보문역 등 WHO기준 초과 5개 역 ‘우이경전철’
국민안전 관련된 만큼 서울 지하역사 전역 라돈 전수조사 필요”
미연방환경청(EPA)에 따르면 기준 초과 역사 13개로 크게 늘어
성신여대입구역·보문역 등 WHO기준 초과 5개 역 ‘우이경전철’
국민안전 관련된 만큼 서울 지하역사 전역 라돈 전수조사 필요”

7일 신용현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바른미래당)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가 라돈을 측정한 지하철 역사 52개 중 라돈농도가 WHO 기준(100Bq/ )을 초과하는 역사는 5개였으며, 미국 환경청(EPA) 기준(74Bq/㎥)을 초과하는 역사는 13곳인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148Bq/㎥)을 초과하는 역사도 4곳이나 됐다.
WHO 기준을 초과하는 역사는 삼양, 솔샘, 북한산보국문, 성신여대입구, 보문 역 등 우이경전철에 해당하는 5개 역사였고, 미EPA 기준을 초과하는 역사는 남태령(4호선), 충정로(5호선), 마들(7호선), 중계(7호선), 서울숲(분당선), 삼양사거리(우이경전철), 정릉(우이경전철), 삼전(9호선) 등 8개 역사였다.



신 의원은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지하철 역사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며 “지난 라돈침대사태 이후 많은 국민들이 여전히 라돈공포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신 의원은 “52개 역사만 대상으로 한 조사이기 때문에 실제 더 많은 역사에서 라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될 수도 있다”며 “국민안전에 관한 문제이니 만큼 주무부처인 원안위가 주도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신 의원은 “역사 내 라돈물질은 성인 뿐만 아니라 영․유아에게도 유해한 만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