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인도, 무선통신부문 화웨이와 ZTE 등 중국의존도 심각

공유
0

[글로벌-Biz 24] 인도, 무선통신부문 화웨이와 ZTE 등 중국의존도 심각

5G부문도 중국기업 선정가능성 높아 재검토 목소리 높아져

인도 5G 통신장비시장을 놓고 중국의 지배력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사진은 5G 장비시설을 갖춘 기지국 모습. 이미지 확대보기
인도 5G 통신장비시장을 놓고 중국의 지배력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사진은 5G 장비시설을 갖춘 기지국 모습.
히말라야 카슈미르 국경에서 지속해온 인도와 중국 사이의 영유권 분쟁이 최근 수십 명이 사망하는 유혈 충돌로 확산하면서 인도 국민들 사이에 인도 시장을 꽉 잡고 있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감도 크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인도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중국산 스마트폰에 대한 불매 운동 조짐이 보인다. 그러나 인도 무선통신 인프라는 화웨이, ZTE 등 중국기업들의 비중이 너무 과도한 것으로 나타나 이번 영유권 분쟁을 계기로 인도가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날지 관심을 끌고 있다고 선데이가디언라이브 등 인도 현지매체들이 2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무선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도의 통신 인프라의 핵심에는 중국 화웨이와 ZTE의 장비로 채워져 있어 중국 의존도가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중국과의 국경충돌로 인도와 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인도는 무역뿐만 아니라 사이버 보안, 통신 장비, 무선 기술, 사이버법의학(Computer forensics) 등과 같은 중요한 기술 분야에서 관계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심각한 보안위험을 이유로 미국과 많은 유럽국가가 이 두 중국 제조업체의 장비 구매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 국영통신회사 BSNL은 화웨이와 ZTE의 기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4년 초 화웨이가 BSNL 장비를 해킹한 것으로 보고돼 의회에 통보했다. 인도의회는 조사를 시작했으며 보고서가 아직 의회에 제출되지는 않았다.

중국업체는 현재 인도 무선통신 시장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같은 비중은 앞으로 수년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삼성전자가 시장점유율을 주장하는 유일한 해외기업이다. 구글과 애플은 인도에서 시장점유율이 1%도 갖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은 인도정부가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는 큰 위험요소다. 구글은 화웨이에 부여한 라이선스를 철회했으며 화웨이와의 관계를 정지시켰다. 이에 따라 화웨이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자사개발의 안드로이드 버전에 이행할 수 밖에 없었다. 화웨이가 독점적인 스마트폰에 무엇을 장착했는지 우려되는 대목이다.

올해 1월 인도의 라비 샹카르 프라사드(Ravi Shankar Prasad) 통신장관은 5세대(G) 시험은 모든 공급업체와 사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런 인도정부의 방침은 화웨이 등 중국기업에 참여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시험프로젝트에 참여한 관계자들을 긴장시켰다. 화웨이 등 중국기업들은 계약이 체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싸고 조달하기 쉬운 이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들 중국기업과의 계약체결은 장기적으로 인도에 불이익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화웨이는 인도 5G경쟁에서 제외될 경우 인도에의 투자를 일시중단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화웨이는 지금까지 인도에 약 35억 달러를 투자했다.

지난해 10월 미국정부는 화웨이 장비를 5G 출시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인도정부에 경고했다. 또한 인도정부와 기업에 미국산 기기와 기타제품과 기술을 화웨이와 공유하지 말도록 권고했다.

인도 통신규제국(TRAI)은 지난해 8월에 인도정부가 다가올 5G경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스펙트럼을 권장했는데 이는 화웨이의 5G공급업체 선정을 정부에 넘긴 조치다.

인도정부는 이제 5G 차세대 장비, 즉 중국 장비 구매에 항복하기 직전상황에 놓였다. 전문가들은 인도가 5G차세대 장비를 중국에 지배해 무선통신 인프라의 핵심보안을 약화시킬 실수를 저지르며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들 전문가는 인도 내에서 5G 핵심기술을 구축하기 위해 현지기업에 투자하고 격려하는 조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