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은 4855억원 감소한 6조4807억원…"리오프닝으로 실적 회복세"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제24기(2021회계연도, 2021년 3월1일~2022년 2월28일)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2021회계연도 총 매출은 전년 대비 4855억원 감소한 6조4807억원으로 집계됐다.
손익구조는 적자로 전환됐다. 1334억원의 영업손실과 37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매출 감소 원인으로는 통상적으로 높은 매출이 발생하는 연말, 연초에 오미크론 확진자 수가 일 평균 최대 20만 8000명(2월 넷째 주, 전국 기준)까지 급증하며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고객이 급감했던 것을 꼽았다.
수익 감소에 대해서는 오프라인 유통업체에 집중된 각종 규제와 온·오프라인 투자비 증가,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됐던 부분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정부의 거리두기 완화와 리오프닝이 본격화되면서 2022회계연도부터는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거리두기 완화와 리오프닝을 앞두고 매출 회복을 준비해왔던 홈플러스는 오프라인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2월 중순 인천 간석점을 시작으로 기존 오프라인 매장을 초대형 식품 전문 매장인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으로 리뉴얼 오픈해 고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인천 간석점은 재개장 이후 최근까지 약 37%의 매출 신장률을 달성했으며 그 외 리뉴얼 점포들 역시 약 10% 내외의 매출신장률을 기록 중에 있다.
온라인 부문도 배송 차량을 대폭 늘리고 배송시스템 강화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등 인프라 강화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홈플러스는 마트직송과 즉시배송을 확대하면서 배송차량을 전년 대비 약 20% 늘렸다. 이 같은 배송시스템 강화 효과에 힘입어 온라인 부문은 전년 대비 12% 수준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홈플러스의 '투자를 통한 성장 전략'은 긍정적 효과를 낳고 있다. 최근 리뉴얼 점포의 매출 증대와 함께 온라인 부문도 큰 폭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도 빛을 발하고 있다.
2021회계연도 말 기준 총 차입규모는 1조4349억원으로 전년 대비 4444억원 줄었다. 2020회계연도 말에 1663억원에 달했던 단기차입금은 절반 수준인 859억원으로 줄었고, 장기차입금과 사채도 3640억원 줄어 1조3489억원을 기록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재무구조 개선으로 금융비용 역시 428억원 줄어, 향후 재무적 안정성은 물론 수익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송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sy12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