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일종 정책위의장, 민생물가안정특위서 은행권에 '예대마진 점검' 요청
관치금융성 발언에 9월 코로나19 대출지원 종료 앞둔 은행들 부담 가중
관치금융성 발언에 9월 코로나19 대출지원 종료 앞둔 은행들 부담 가중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민생물가안정특별위원회 4차회의에 참석해 발언하는 모습 [사진=뉴시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20628132926017997c99d70e7d3912312165.jpg)
2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민생물가안정특위에서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이 대출수요자들에게만 가중되지 않도록 은행권 스스로가 예대마진(대출·예금 금리 격차)을 점검해달라고 촉구했다. 성 정책위의장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만 올려도 대출이자 부담은 6조7000억원 이상 늘어난다"며 "급격한 이자 부담은 '영끌족', 자영업자들이 줄도산에 직면토록 한다"고 말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같은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5대 금융그룹은 1분기 11조3000억원의 사상 최대 이익을 실현했다. 이같은 초호황은 2018년 6월 이후 최대폭이다"며 "예대금리 차로 인한 이익 창출이 있었으므로 문제가 된다"며 은행의 이자장사를 겨냥했다. 성 정책위의장은 "(경제위기는) 특히 국민의 금융을 담당하는 은행들의 적극적 협조가 요구되고 예대마진에 대한 시장의 순기능이 잘 형성되어야 한다"며 "금융기관들이 이같은 현장 분석을 통해 예대마진에 대한 쏠림 현상이 없도록 자율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금리 상승 시기에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금융회사가 함께 협력하라"고 당부했다, 같은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취임 첫 은행장과의 간담회에서 "(은행들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진다"며 은행들의 지나친 이자 장사를 직격했다.
한편, 이같은 정치권의 압박이 격한 가운데 은행권은 당장 오는 9월부터 코로나19 대출지원을 종료해야 하는 고민을 안고 있다. 자칫, 대규모 부실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정치권의 직접적 압박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대통령부터 나서자 금융감독원장, 국민의힘 정책위원장 까지 잇달아 민간금융사인 은행에 대해 압박성 발언을 내놓고 있다. 자칫 '관치금융' 을 부활 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이종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zzongy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