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WSJ “하버드대, 트럼프 정책 현실화되면 예산 13조원 적자 위기”

글로벌이코노믹

WSJ “하버드대, 트럼프 정책 현실화되면 예산 13조원 적자 위기”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 사진=로이터


미국 명문 사립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각종 정책 구상이 현실화될 경우 연간 10억달러(약 1조3850억원)에 달하는 예산 적자**에 직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하버드대의 재무 자료와 법원 제출 문서를 토대로 자체 분석한 결과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연구비와 학생 지원을 끊고, 외국인 학생 입학을 금지하며, 기부금 수익에 대한 세율을 기존 1.4%에서 8%로 올릴 경우 하버드가 입을 잠재적 손실이 연간 10억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3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하버드 재정지원 중단”…기부금 수익세율 인상도 추진

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가 유대인 학생에 대한 차별과 캠퍼스 반유대주의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연방 민권법 위반 조사를 진행 중이며, 행정부는 하버드에 대한 모든 연방 자금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경고했다.

WSJ는 이 같은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연방 연구비 약 7억달러(약 9700억원) △연방 장학금 약 2000만달러(약 280억원)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 약 9000만달러(약 1246억원) △기부금 수익세 인상분 약 6000만달러(약 831억원) 등 총 10억달러 규모의 수입이 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하버드는 차별적이고 수치스러운 관행을 중단하기 전까지 연방 자금을 받을 수 없다”며 “민간 부문이 자율적으로 지원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하버드는 지난달 법원에 제출한 서류에서 “이미 일부 부서의 연구자금이 중단됐으며 유방암·소아 HIV·절단 후 사지 재생 등 연구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고 밝혔다.

◇기부금 의존도 높은 구조…법적 제약에 자율적 운용 어려워

하버드는 약 640억달러(약 88조6240억원) 규모의 기부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WSJ에 따르면 이 중 80% 이상은 특정 목적에만 사용할 수 있는 지정 기부금이어서 일반 운영예산 보전에 활용하기 어렵다.

로버트 켈첸 미국 테네시대 교수는 “하버드는 당장은 버틸 수 있지만 결국엔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며 “기관의 미래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하버드는 신규 채용을 동결했고 케네디 행정대학원에서는 직원 감축과 부서 예산 삭감이 진행 중이다. 지난 4월에는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7억5000만달러(약 1조380억원)를 차입했고 민감한 유동성 확보를 위해 10억달러(약 1조3850억원) 규모의 사모펀드 투자자산 일부를 장부가보다 7% 낮은 가격에 매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부 모금·정치적 협상 시도…“사태 장기화 시 하버드 위기”

앨런 가버 하버드 총장은 지난 5월 기부자에게 보낸 서한에서 “정부의 기초연구 자금 철회는 하버드의 세계적 연구기관 지위에 중대한 위협”이라며 “긴급 재정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대통령 특별기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WSJ에 따르면 일부 기부자는 다시 하버드에 지원을 시작했지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이 벌어진 지난해 10월 7일 이후 기부를 중단한 인사들은 여전히 ‘보다 강력한 반유대주의 대처와 자유로운 학문 분위기 조성’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 교육협의회(ACE)의 테드 미첼 회장은 “하버드는 지금 벼랑 끝에 서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와의 소송에서 패할 경우 하버드뿐 아니라 미국 고등교육 자체가 되돌리기 어려운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