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동남아 진출하는 카드사들…인도네시아·베트남법인 설립 '붐'

공유
0

동남아 진출하는 카드사들…인도네시아·베트남법인 설립 '붐'

국내 업황 어둡자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로 동남아 '눈독'

우리은행의 인도네시아법인인 우리소다라은행 직원이 고객을 응대하고 있는 모습. 우리은행은 2013년 소다라은행 지분을 인수한 뒤 이듬해 인도네시아법인과 합병해 우리소다라은행을 출범시켰다. 사진=우리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우리은행의 인도네시아법인인 우리소다라은행 직원이 고객을 응대하고 있는 모습. 우리은행은 2013년 소다라은행 지분을 인수한 뒤 이듬해 인도네시아법인과 합병해 우리소다라은행을 출범시켰다. 사진=우리은행
국내 신용카드사들이 동남아 시장에 잇따라 진출하고 있다. 가맹점 카드수수료 인하 등으로 국내 업황이 어두운 가운데 새로운 수익 창출하고자 신흥시장인 동남아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1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국내 8개 카드사 중 신한카드와 국민카드·롯데카드·우리카드·BC카드 등 5개 사가 동남아 시장에 진출했다. 특히 카드사들은 많은 인구와 풍부한 자원을 갖춘 인도네시아와 함께 중국의 대체 생산 기지로 급부상하며 경제 성장률도 돋보이는 베트남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에 해당하는 약 2억8000만명의 인구에 원유와 천연가스, 목재 등 자원이 풍부하다. 매년 자원 수출을 통해 5% 이상의 경제 성장률도 보인다. 1억명의 인구를 보유한 베트남 역시 고성장 국가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올해 베트남의 경제 성장률을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8.5%로 전망했다.

또한 동남아 국가들은 시장 특성상 젊은 층이 많아 케이팝을 통한 한류 열풍 등 문화적 이유로 안정적 수익이 기대되는 시장이다. 이들 국가들은 금융시장이 발달하지 않아 자본력이 부족한 상태로 선진화된 금융인프라 마련도 요구된다.

이창원 한국기업평가 금융2실 실장은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은 이미 금융 시스템과 결제 시장이 성숙해, 국내 카드사들이 현지 업체들과 경쟁하기 어렵다"며 "금융 인프라가 아직 부족한 동남아 시장은 지금 당장 수익에 큰 도움되는 않아도 향후 높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카드는 지난 1일 인도네시아의 할부금융사 '바타비야 프로스페린도 파이낸스'를 인수해 '우리파이낸스 인도네시아'를 출범시켰다. 우리파이낸스 인도네시아는 우리카드가 2016년 미얀마에 설립한 '투투파이낸스'에 이은 두 번째 해외법인이다. 투투파이낸스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약 43% 늘어난 11억1000만원을 기록했다.

신한카드는 지난달 30일 베트남법인 '신한베트남파이낸스(SVFC)'를 통해 신용카드 '더 퍼스트(The First)'를 출시했다. 신한카드는 이미 베트남 호치민, 하노이 등에서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대출 상품을 운영중이다. 이 밖에도 신한카드는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에서 해외법인을 운영하며, 올 상반기 해외에서 얻은 당기순이익은 지난해보다 4배 증가한 113억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BC카드도 지난달 12일 인도네시아 IT 개발사 크래니움의 지분 67%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크래니움은 인도네시아 최대 국영은행인 만디리은행을 포함해 연금저축은행, 텔콤통신사 등 다수 현지 국영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
앞서 동남아에 진출한 KB국민카드는 캄보디아·인도네시아·태국 등 동남아 해외법인에서 올 상반기 지난해 동기 대비 8배 성장한 120억9100만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 6월부터는 카카오페이와 손잡고 동남아에서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고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롯데카드 역시 베트남 롯데파이낸스 베트남법인을 통해 현지 이커머스 업체와 손잡고 하반기 후불결제(BNPL) 서비스 출시를 준비중이다. 현대카드의 경우 2019년 베트남 시장 진출을 준비하다 코로나19 사태로 무산됐다.

국내 카드 시장의 성장세가 점차 한계를 보이면서 동남아 시장에 진출하는 카드사는 향후에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카드사들의 실적 개선 흐름이 계속된다면 현대카드 등 타 카드사들도 동남아 진출을 다시 모색할 것으로 전망한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에서 가맹점 수수료가 인하되면서 카드사들이 더 이상 신용 판매로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며 "여기에 다른 주요 사업인 카드론 역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대상에 포함돼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