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서 모두발언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우리 수출을 견인하던 자유무역과 국제규범이 더 이상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할 방안에 대해서는 "국익 극대화를 전제로 실용적인 통상정책을 전개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통상협정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을 통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겠다"면서 "새로운 수출시장과 품목을 개척하고 금융, 마케팅 등 수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등 무역구조를 종합적으로 혁신해 수출 1조달러 시대를 준비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반도체·미래차 등 핵심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석화·철강 등 공급과잉 문제를 겪는 산업은 신속한 사업 재편과 고부가 제품 전환을 통해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원전 추진을 병행해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문제를 대처하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입지, 전력망, 시장 제도 등을 개선해 재생에너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겠다"며 "에너지 가격 안정화, 탄소중립 달성, 글로벌 수출 등 산업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은 원전도 안전성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착실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에너지 고속도로 등 전력 인프라와 시스템을 혁신해 전력시장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역 간 전력 불균형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지역경제 생태계를 복원해 지역에도 공정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겠다"며 "RE100 산단 조성, 과감한 규제 혁신과 인센티브 등을 통해 기업의 지방 투자를 촉진하고, 부처 협력으로 교육, 의료 등 정주 여건을 확충해 지역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실질적 성과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