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과 '버그바운티' 협력
서비스 보안 취약점 사전 차단
서비스 보안 취약점 사전 차단

카카오모빌리티는 5일 KISA 디지털위협대응본부 이동근 본부장, 카카오모빌리티 정보보호최고책임자 최진욱 상무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공동 운영사 참여를 위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는 KISA가 기업의 보안 취약점 발굴과 선제적 대응을 지원하는 '버그바운티(Bug Bounty) 공동운영제도'의 일환으로, 버그바운티는 소프트웨어 또는 웹 서비스의 신규 보안 취약점을 발견해 신고한 화이트해커 등에게 포상금이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신고포상제도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 T, 카카오내비 앱 및 웹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미리 발굴하기 위한 외부 보안 전문가의 참여를 확대하고, 이를 안전하게 개선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두 회사는 △신규 보안 취약점 접수, 평가, 포상기준 수립 등 신고포상제 전 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신규 취약점 발견 시 보안패치 개발 등 대응, △신규 취약점 및 사이버 위협 탐지동향 등 정보 공유 분야에서도 협업한다.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는 국내외 거주하고 있고, 보안 분야에 관심 있는 한국인이라면 일반인부터 보안전문가까지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KISA 사이버 보안취약점 정보 포털'을 통해 취약점을 신고할 수 있다. 우수 취약점을 분기별로 평가해 유효성이 입증된 제보에 대해 운영 방안에 따른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단, 서비스에 대한 자동화된 무단 스캐닝, DDoS 공격, 개인정보 수집 및 유출 시도 등은 포상 대상에서 제외되며 관련 법령에 따라 제재되거나 처벌받을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정보보호최고책임자 최진욱 상무는 "이번 협약을 통해 보안 취약점을 조기에 식별하고 개인정보나 기업 내 민감정보 유출 등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등 전방위 해킹 위협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KISA 계속 협력해 투명하고 안전한 보안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사내 정보보호 인식 제고와 실무 보안 강화를 위해 다양한 사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해마다 시스템의 취약점을 개선하고 개인정보 유출과 해킹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한 직원들에게 'Security & Privacy Best Practices 상'을 수여하고 있으며, 사내 개발자를 대상으로 해킹 대회인 CTF(Capture The Flag)를 개최해 시큐어 코딩 문화와 자율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