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온큠 리게티 양자컴 엇갈린 행보 ... 빅쇼트 AI거품-셧다운 종료
이미지 확대보기[속보] 뉴욕증시 팔란티어· 엔비디아 "공매도 숏커버링 폭발" ... 빅쇼트 AI거품 전쟁 참패
셧다운 종료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뉴욕증시에서는 팔란티어· 엔비디아에 대한 공매도 숏커버링이 폭발하고 있다. 빅쇼트의 AI거품 에 대한 공매도 베팅이 셧다운 종료로 힘을 잃는 모습이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미국 연방정부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종료 기대감에 일제히 상승했다.
10일(현지시간) 오전 10시 현재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8.85포인트(0.40%) 오른 47,175.95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80.98포인트(1.20%) 오른 6,809.78,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463.79포인트(2.02%) 상승한 23,468.33을 가리켰다.
사상 최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셧다운이 곧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났다.
지난 9일 미국 상원 전체 회의에서 예산안 처리를 위한 첫 단계인 '절차 표결'이 이날 실시됐고, 찬성 60표, 반대 40표로 가결됐다.
미국 상원의 일부 민주당 중도파 의원이 셧다운 사태를 끝내기 위해 공화당 단기 지출법안(임시 예산안)을 찬성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선회한 덕분이다.
상원은 이르면 이날 전체 회의를 열어 예산 법안을 최종 처리할 것으로 예정이다. 이후 하원에서도 같은 법안을 통과시켜야 하는데, 상원에서 최종 처리될 경우 집권 공화당이 다수당인 하원에서도 가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탈놀리지의 아담 크리사풀리 전략가는 "셧다운이 미국 경제에 점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기 때문에 셧다운이 종료된다는 것은 분명 긍정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밤 60대 40으로 투표가 통과된 것을 많은 사람은 연말 랠리 시작의 청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부동산, 에너지, 소비재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델타항공은 셧다운 종료 기대감에 주가가 3% 가까이 올랐다. 유나이티드 항공과 아메리칸 항공도 2%대 상승세를 보였다.
MP머터리얼즈는 도이체방크가 투자 의견을 유지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6% 이상 올랐다.
금광 업체 배릭 마이닝은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인상 소식에 주가가 6% 넘게 뛰었다.
유럽증시도 상승세를 보였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장 대비 1.68% 오른 5,659.94에 거래 중이다. 독일 DAX 지수는 1.71% 올랐고 프랑스 CAC40 지수와 영국 FTSE100 지수는 각각 1.36%, 0.94% 상승했다.
국제 유가도 강세를 나타냈다.
같은 시각 근월물인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17% 오른 배럴당 59.85달러를 기록 중이다.
TSMC 월간매출 성장 둔화에 'AI붐 계속될까' 논쟁 촉발
송고시간 2025-11-11 04:19
월매출 작년 2월 이후 최저인 16.9%↑…업계는 낙관 전망이 우세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 TSMC의 월간 매출이 둔화하면서 인공지능(AI) 분야의 폭발적 성장이 계속될지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TSMC는 10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9% 증가해 18개월 전인 2024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한 달간의 사업 실적만 반영한 것으로 중장기 성장세를 판단하기에 적합한 자료는 아니다.
또 분석가들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16%에도 부합하는 수치다.
그런데도 시장은 긴장 상태를 보인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TSMC의 성장률 둔화가 그간 시장을 이끌던 'AI 붐'의 종말을 예고하는 것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최근 거대 기술기업들이 연이어 역대 최고 수준의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시장에서는 AI 거품론이 확산하면서 지난주 후반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가 조정을 받은 바 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마이클 버리의 사이언 자산운용도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대한 풋옵션을 매수한 사실을 공시하며, 이들 기업의 주가 하락에 베팅한 사실을 공개했다.
다만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기술 업계 관계자들은 여전히 시장에 낙관적인 입장을 보인다.
황 CEO는 지난 8일 TSMC와 만나기 위해 대만을 방문한 자리에서 자사의 최신 아키텍처인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가 급증해 핵심 원재료인 웨이퍼를 TSMC에 추가 주문했다고 말했다.
웨이저자(魏哲家) TSMC 회장도 자사의 생산 능력이 여전히 매우 빠듯한 수준이라며 수요와 공급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지난달 밝혔다.
오픈AI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구글·메타 등 주요 AI 관련 기업들도 AI 부문에 막대한 투자를 계속하겠다고 밝혀 AI 부문 성장세가 지속할 것이라는 의견에 힘을 실었다.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는 최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세계가 AI의 성장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TSMC의 미국예탁증권(ADR)은 미 동부 시간 오후 2시(서부 시간 오전 11시) 현재 전날보다 약 3% 오른 294.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달러-원 환율이 야간 거래에서 낙폭을 축소하며 1,450원대 중반에서 장을 마쳤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해제 기대감으로 위험 선호에 힘이 더해졌지만 달러 또한 하방 지지력이 단단해지면서 원화 가치는 약해졌다.
11일(한국시간) 새벽 2시 달러-원 환율은 전장 서울환시 종가 대비 0.10원 하락한 1,456.80원에 마감했다.
이번 장 주간 거래(9시~15시 30분)의 종가 1,451.40원 대비로는 5.40원 올랐다.
미국 민주당 내 중도파 상원 의원이 공화당의 임시 예산안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는 소식으로 셧다운 해제 기대감이 강해졌다. 찬성으로 선회한 민주당 중도파 의원은 8명이다.
상원은 이르면 이날 전체 회의를 열고 예산법을 최종 처리할 예정이다. 하원은 공화당이 다수당인 만큼 가결 가능성이 크다. 상원에서 민주당 중도파 의원들이 임시 예산안에 찬성하면 셧다운은 마무리되는 것이다.
셧다운 해제 기대감으로 안전 선호 심리가 약해졌으나 달러화 가치는 보합권에서 버티고 있다. 일본 정부가 확장 재정 기조를 거듭 재확인하면서 엔화 약세 기조가 강해지자 달러로 매수 심리가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이날 의회에서 "일본의 지속 가능한 재정을 유지해 시장 신뢰를 확보하겠다"면서도 "투자가 늘지 않으면 경제는 성장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재정 건전성보다는 경기 부양을 우선시하겠다는 의미다.
코페이의 칼 샤모타 수석 시장 전략가는 "내일 휴일을 앞두고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적다"며 "대부분 시장 참가자는 미국의 펀더멘털을 둘러싼 불확실성에 대처하면서 큰 방향성 포지션은 피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오전 2시 43분께 달러-엔 환율은 153.960엔, 유로-달러 환율은 1.15530달러에 거래됐다. 역외 달러-위안 환율은 7.1222위안에서 움직였다.
엔-원 재정환율은 100엔당 942.79원을 나타냈고, 위안-원 환율은 203.78원에 거래됐다.
이날 전체로 달러-원 환율 장중 고점은 1,457.50원, 저점은 1,450.80원이었다. 변동폭은 6.70원을 기록했다.
야간 거래까지 총 현물환 거래량은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 양사를 합쳐 132억9천200만달러로 집계됐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
















![[뉴욕증시] 셧다운 종료 기대감에 3대 지수↑](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106372703536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