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후쿠시마산 방사능 의혹 식품 6년간 407t 수입됐다

글로벌이코노믹

후쿠시마산 방사능 의혹 식품 6년간 407t 수입됐다

[글로벌이코노믹 편도욱 기자] 지난 2011년 일본 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 이후 6년 동안, 후쿠시마산 식품 407t이 국내에 수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과 대만 등이 일본 후쿠시마에서 생산된 모든 식품에 대해 수입을 중지한 것과 우리 정부가 막대한 양의 후쿠시마산 식품 수입을 허용한 것과 상반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출한 ‘원전사고 이후 후쿠시마 식품 수입 현황’을 제출받아 18일 이 같이 밝혔다.

이미지 확대보기
2011년 3월11일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현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발생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3월 25일 농산물 등 일부 식품에 대해서만 수입을 중지했다. 그 결과 후쿠시마 식품 407t이 873회에 걸쳐 국내로 수입된 것. 품목별 수입현황을 보면, 수산물 가공품이 873건, 23.3t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두가지 이상의 식품첨가물이 섞여있는 혼합제제는 51.3t 수입됐고, 캔디류 4t, 청주 3.3t, 기타 식품첨가물 1.9t 등이 수입됐다.

후쿠시마산 식품 수입은 원전사고가 있었던 2011년에 9.4t에서 2012년 6.4t으로 줄었지만 2013년 6.3t, 2014년 6.1t, 2015년 6.9t, 2016년 상반기 5.4t으로 비슷한 수준의 수입량이 유지되고 있다. 이는 우리 정부가 후쿠시마산 식품에 대해 수입중지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 농산물 19개 품목과 사료, 수산물에 대해 수입중지하고 있는 상태다. 반면 이웃 나라인 중국과 대만 등은 일본 후쿠시마에서 생산된 모든 식품에 대해 수입을 중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의 방사능 검사증명서와 국내 검역 시 정밀검사를 실시해 후쿠시마 식품이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후쿠시마는 여전히 방사능 유출로 접근조차 불가능한 지역이 존재하고, 일본의 다른 지역에서도 방사능 영향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한국에 수입되었다가, 방사능이 검출돼 일본으로 전량 반송되는 사례도 빈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 7월 21일까지 일본산 수입 식품에 미량의 방사능이 검출돼 일본으로 반송된 사례는 187건, 197.6t으로 집계됐다.

최도자 의원은 “우리 국민들이 원전 사고 지역인 후쿠시마현에서 생산된 식품을 꼭 먹어야 할 이유가 없다”며 “국민의 식탁에 올라가는 먹거리 안전은 식약처가 강력한 의지와 단호한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흔히 중국산 식품에 대해 우려하는 일도 있지만, 적어도 후쿠시마산 식품에 있어서는 중국이 우리나라에 비해 엄격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식약처는 외교부 등과 협의하여, 후쿠시마산 식품에 대해 수입중지 등 적극적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toy100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