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 공장이 있지만 공장내 노조가 설립돼 있지 않은 테슬라와 외국 자동차 업체들은 혜택에서 제외된다.
벌써부터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민주당이 제안한 세제혜택 법안은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이른바 디트로이트 빅3에만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됐다.
그러나 이 법안으로 빅3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갖게 돼 테슬라는 물론이고, 혼다, 도요타 등 외국 자동차 업체들이 비판하고 나섰다.
법안에 따르면 미국내 노조가 구성된 공장에서 생산된 전기차를 비롯해 탄소배출이 제로인 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기존 세액공제 7500 달러에 더해 1만2500 달러를 더 공제받을 수 있다.
노조가 구성돼 있는 빅3의 전기차를 사면 최대 2만 달러 낮은 가격으로 차를 구매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음을 뜻한다.

특히 기존 전기차 세액공제 7500 달러는 전기차 누적판매 규모가 20만 대를 찍으면서 서서히 사라지고 있는 것과 달리 일몰규정에서도 제외돼 있다.
민주당 방안이 현실화하면 GM 쉐보레 볼트 전기차는 차 값이 최대 3분의 1 낮아진다. 어떤 경우에는 휘발유 자동차보다 값이 낮아질 수도 있다.
법안을 제안한 댄 킬디(민주·미시건) 하원 의원은 로이터에 "미 제조업체들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라면서 아울러 "우리가 취할 수 있는 그 어떤 정책보다도 더 빠르게 배출가스를 줄인다"고 주장했다.
킬디 의원은 세제혜택 규모가 10년간 330억~3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10년 안에 미 노동자들이 미국산 전기차를 만들면서 높은 임금을 받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미 자동차 노조연맹인 UAW가 장악한 빅3와 달리 미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 외국 자동차 업체 공장들에서는 노동자들이 UAW의 노조설립을 저지하고 있어 크게 불리한 처지가 될 전망이다.
혼다는 지난달 이같은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성명을 내고 자사 노동자들이 "의회로부터 공정한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다"면서 "작업장에 대한 그들의 선택으로 인해 피해를 봐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의회 통과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하원에서는 통과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세입위원회가 14일 3조5000억 달러 규모의 바이든 대통령 복지법안을 표결하면서 이 법안에 들어가 있는 전기차 세제혜택 법안 역시 함께 처리될 전망이다.
그렇지만 당연직 상원의장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제외하면 민주당과 공화당이 각 50석씩 차지하고 있는 상원에서는 통과를 장담하기 어렵다.
공화당이 대규모 재정지출을 수반한 이 법안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민주당이 이를 통과시키려면 민주당 내에서 단 한 표도 반란표가 나오지 않아야 한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