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최근 기장군 일광읍에 소재한 옛 한국유리 부지(사진 위) 내 문화 용지에 ‘디자인박물관’ 형식의 미술전시관을 짓기로 확정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다.
이는 그간 꾸준히 ‘공연장 건립’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기장군의 요구를 묵살한 조치다.
7일 글로벌이코노믹 취재에 따르면 부산 지역 건설업체인 동일스위트는 일광읍 옛 한국부지에 최고 48층, 1968세대에 이르는 대단지 아파트를 짓기로 하고 현재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동일스위트는 인허가 과정에서 사업의 편의를 위해 2023년 부산시와 공공기여 이행 협약을 체결했다. 부지 제공을 포함해 총 1083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출하고, 1만5000㎡에 달하는 문화용지에 관련 시설을 건립키로 했다.
기장군은 이 부지에 공연장이 들어오길 원했다. 이는 정종복 기장군수의 공약사업으로 기장군의회도 최근 열린 본회의에서 구혜진 의원이 대표 발의한 ‘구 한국유리 부지 기장군 문화예술회관 건립 촉구 건의안’을 원안 가결한 바 있다.
그러나, 부산시의 결정은 해당 부지에 전시관을 짓기로 확정한 것. 지역민의 의견 수렴이나 지역 지자체의 바램을 모두 무시한 처사라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부산시 관계자는 “기장군민 일부보다는 부산시민 전체가 이용하는 문화시설이 들어서야 한다”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전해들은 한 기장군민은 “객관적으로 봐도 공연장 건립이 훨씬 더 군민이나 시민들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문제는 해당 부지 인근에 박형준 부산시장의 부인과 지인들이 설립한 ‘청광문화재단’에서 이미 미술관이 건립되고 있다. 따라서 ‘청광문화재단’의 미술관에다 미술 전시도 가능한 대형시설(디자인전시관)까지 들어서게 되면, 이 일대는 ‘미술 클러스터’로 변모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부산시가 굳이 기장군의 요구를 무시하고 공연장이 아닌 전시관을 짓기로 결정한 배경과 의도에 따가운 시선이 쏠리는 까닭이다.
이런 부산시의 결정에 시민사회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기장군 일광읍의 한 시민은 “사람들이 많이 올 수 있는 ‘공연장’이 건설되면 인근 상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아니냐”라고 아쉬워 했다.
또한, 황운철 기장군의원(민주당)은 “박형준 시장이 무리하게 일을 저질렀다. 디자인박물관이나 미술전시관이나 결국은 마찬가지인데, 대놓고 미술전시관을 짓는다면 오해를 살 것 같으니 이렇게 교묘하게 포장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질타했다.
박종철 부산시의원(국민의힘, 기장군1)도 “공공기여 제도의 취지에 맞게 지역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부는 최근 개발에 따른 공공기여와 관련해 논란이 계속되자 올 3월 공공기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전국 지자체에 배포했다. 주된 내용은 ‘계획이익’을 지역사회와 합리적으로 공유하고, 공공기여 절차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지자체와 민간 개발업계, 감정평가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폭넓게 청취, 현장에서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둔다고 밝혔다.
강세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min382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