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한 폐렴 잠복기 동안 방역을 위해 출근을 한시적으로 금지한다는 조치다.
이 같은 정부의 조치에 상하이 발(發) 한국행 컨테이너 선박이 묶인 것으로 파악된다.
컨테이너 선박이 묶인다는 것은 즉 컨테이너 안의 물품도 묶이게 되는 것을 뜻한다. 원치 않게 물건이 묶인 화주들은 속이 탈 뿐이다.
중국의 이 같은 ‘출근 금지령’ 정책은 중소기업에 큰 타격이 된다.
중국에서 의류를 수입해 유통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 A사는 우한 폐렴 사태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을까 걱정이 크다. 상하이에서 출발해 받기로 한 물품이 넘어오지 않아서다. 보유중이 재고가 있기에 당장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이 같은 사태가 장기화 된다면 피해가 막심해질 것은 당연한 상황이다.
유통업계·물류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물류 통행이 제한되고 업무처리를 위한 출장도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하이 인민정부의 판단 하에 이 같은 상황이 계속 유지 될 것이기 때문에 기다리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중소기업벤처진흥공단과 소상공인진흥공단은 국내 기업의 피해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피해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중소기업벤처부(중기부)는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에서 긴급자금 대출, 기존 대출 연장 등의 조치를 취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같은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을지 적극 검토 중이다.
이날(28일) 박영선 중기부 장관 주재로 현안 점검 회의를 갖고 우한 폐렴 사태에 따른 대책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