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바이오팜, 뇌전증 치료제로 확보한 자금 '신규 모달리티'에 적극 투자

글로벌이코노믹

제약∙바이오

공유
0

SK바이오팜, 뇌전증 치료제로 확보한 자금 '신규 모달리티'에 적극 투자

RPT 사업 로드맵 컨퍼런스콜 통해 사업 방향성 발표
오는 2027년에 글로벌 리딩 플레이어 도달이 목표
다른 신규 모달리티인 TPD·CGT 사업도 순항 중

지난 1월 9일(미국 샌프란시스코, 현지시각)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이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 아시아·태평양(APAC) 트랙에서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투자자 대상으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SK바이오팜
지난 1월 9일(미국 샌프란시스코, 현지시각)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이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 아시아·태평양(APAC) 트랙에서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투자자 대상으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이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를 미국에 판매하면서 거둔 수익으로 신규 모달리티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에는 글로벌 리딩 플레이어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은 향후 신규 모달리티 중에 거론됐던 방사성의약품(RPT) 사업에 대한 투자로 빠른 시일 내에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SK바이오팜은 29일 'RPT 사업 로드맵 컨퍼런스콜'(이하 컨콜)을 진행했다. 이날 컨콜에서는 오는 2025년 말 이후 임상1상 돌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오는 2027년에는 RPT와 관련해 글로벌 리딩 플레이어가 되겠다고 전했다.

RPT는 세포를 사멸시키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적에 결합하는 물질에 탑재시킨 후 미량을 체내에 투여해 치료하는 혁신적인 항암 치료 기술이다. 이미 노바티스를 비롯한 글로벌 제약사들이 진출한 시장이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선점한 시장이지만 SK바이오팜이 진출한 이유는 향후 신사업으로 RPT외에도 표적단백질분해치료제(TPD), 세포치료제(CGT) 등을 제시했는데 이 중 RPT사업을 본격화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세노바메이트를 지난 2020년 미국 시장에 출시 후 4년여만에 신사업을 본격화 한 것이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 외에는 자체 제품이 없는데도 신사업에 빠르게 돌입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에서 세노바메이트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노바메이트의 매출을 살펴보면 올해 상반기에만 2397억원을 달성했는데 이는 지난해 전체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 이같은 성장세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RPT에 투자하면서 4년만에 성과를 거두겠다는 것이다.

특히 RPT 사업에 필요한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고순도 악티늄-225(Ac-225)를 확보했다. RPT사업에 가장 필요한 것이기에 기반과 후보물질을 모두 확보하게 됐고 이를 바탕으로 항암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SK바이오팜이 RPT 시장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이유는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프레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RPT 시장 규모는 지난 2022년 52억 달러(약 6조9400억원) 오는 2032년까지 약 136억 달러(약 18조1500억원)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만큼 신규 모달리티로 설정하고 SK바이오팜이 적극 투자한 것이다.

RPT외의 신규 모달리티 TPD에 대한 사업도 순항 중이다. 앞서 SK바이오팜은 지난해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구 프로테오반트)를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TPD 개발에 착수했다. CGT는 아직 파트너사를 알아보고 있는 상황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TPD의 경우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와 후보물질을 개발 중이고 CGT는 SK그룹과 함께 파트너사를 찾고 있는 상황"이라며 "CGT는 추후에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