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대비뇨기병원에서 주로 시행하는 로봇 부신 부분절제술은 정상 부신 조직을 최대한 남기고 부신 병변만을 제거하는 수술로 이 수술에 숙련된 전문의가 집도해야 한다. 360도 회전을 하는 로봇 손의 관절과 제거해야 하는 병변을 최대 15배까지 확대해 볼 수 있어 수술의 정교함이 남다르다.
지난 2022년 27례를 시작으로 2023년 47례, 2024년 85례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로봇 부신 절제술은 지난 15일 마침내 누적 200례를 달성했다. 그중 75% 정도인 154례가 부분절제술로 시행됐으며 나머지는 종양의 크기나 위치로 인해 부분절제가 불가하였다.
이번 200례를 달성하는 데 있어 수술은 대부분 무수혈 수술로 이뤄졌고 기존의 복강경 수술 시간보다 절반 이상 단축됐다. 환자들 또한 수술 후 진통제 요구량과 재원 기간이 줄어들어 빠른 회복을 보였다.
이대비뇨기병원이 로봇 부신 절제술 중 부분절제술 분야에서 뛰어난 성적을 올리고 있는 것은 김완석 이대비뇨기병원 비뇨의학과 교수팀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김 교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인 로봇 부신 절제술 200례를 달성해 감개무량하다"며 "믿고 맡겨주신 환자분, 진단과 추적관찰에 도움을 주신 내분비내과팀과 로봇수술센터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대한비뇨내시경로봇학회에서 부신종양 위원장을 맡으며 학회 활동과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한편 로봇 부신 부분절제술은 부신종양 중 호르몬 분비가 과다하게 분비되는 기능성 종양인 쿠싱증후군, 알도스테론, 갈색세포종 등 우선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에 활용되고 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