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동아에스티, 신규 먹거리 확보에 열중…AI·디지털헬스케어 등 활동범위 넓힌다

글로벌이코노믹

동아에스티, 신규 먹거리 확보에 열중…AI·디지털헬스케어 등 활동범위 넓힌다

제약업계 새로운 먹거리 발견에 사활
동아에스티, AI와 오가노이드 등 신규 사업 확보
영업망 통한 디지털헬스케어까지 사업 확대
동아에스티 사옥 모습. 사진=동아에스티이미지 확대보기
동아에스티 사옥 모습. 사진=동아에스티
제약업계서는 본연의 과제인 R&D에 충실하면서도 다양한 파이프라인 확보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공동개발 등 업무적인 제휴와 투자를 통한 지분 확보가 꼽힌다. 유망한 바이오 벤처를 직접 인수하는게 주를 이루던 과거와 달리 각자의 장점이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이에 발맞춰 동아에스티가 신규 먹거리 찾기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오랜기간 활동하면서 쌓아온 연구개발 능력과 영업력,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파이프라인 확보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개발에 있어서는 인공지능(AI)과 오가노이드 분야가 대표적이다. 최근 동아에스티는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AI 기반 오가노이드 및 유전체 분석 활용 신약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의 기술력과 연구 역량을 결합해 예측 한계와 높은 비용, 장기 개발 기간 등 기존 신약개발의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고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전한다.

AI 신약개발 기업 크리스탈파이와는 면역 및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크리스탈파이의 AI와 양자물리학, 자동화 로보틱스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자동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한다. 양사는 이를 토대로 면역 및 염증 질환의 신규 타깃을 발굴해 퍼스트 인 클래스 및 베스트 인 클래스 후보 물질을 도출할 예정이다.

영업망을 활용한 업무협약도 있다. 메디웨일과 '딕타눈 CVD'와 '닥터눈 펀더스' 국내 병의원 유통과 영업 및 마케팅 활동 계약을 맺었다. 메디웨일은 간편한 눈 검사만으로 심혈관-대사 질환을 예방하는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닥터눈 CVD는 망막 촬영만으로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CT)와 유사한 정확도로 미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AI 소프트웨어다. 세브란스병원을 비롯해 두바이의 당뇨병 관리 클리닉 글루케어와 이탈리아 네프로센터 산하 로마 아메리칸 병원 등 전 세계 100여 개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도 목표로 있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제약, 바이오 산업은 살아있는 시장으로 끊임없이 다양한 치료제와 타겟이 발생하고 있다"며 "동아에스티는 R&D와 영업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를 계속 모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