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루닛 주관 의료·헬스케어 컨소시엄에 참여
AI 신약개발·디지털 트윈 모델 공동 개발…AI경쟁력 강화
AI 신약개발·디지털 트윈 모델 공동 개발…AI경쟁력 강화
이미지 확대보기31일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이번 컨소시엄은 의료·법률·제조 등 주요 산업 별로 도메인 특화 AI 모델을 개발해 국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 주관 사업이다. SK바이오팜은 루닛이 주관하는 의료·헬스케어 컨소시엄의 핵심 참여 기업으로 참여한다. 트릴리온랩스와 아이젠사이언스, 카카오헬스케어 등 주요 기업들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KAIST, 서울대학교 등 국내 유수의 산학·의료기관과 협력하여 AI 기반 의과학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루닛 컨소시엄은 의과학 전주기에 걸친 데이터를 통합해 임상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규모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의료 현장의 의사결정 지원부터 신약개발, 질환 예측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의료 특화 AI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은 컨소시엄 내에서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과 디지털 트윈 모델 개발을 담당한다. 특히 중추신경계(CNS) 질환 중심으로 화합물·단백질 데이터와 임상·실사용데이터를 결합해 신약개발 프로세스를 고도화하고,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 설계까지 이어지는 AI 기반 연구 체계를 구현할 계획이다.
이번 과제는 SK바이오팜의 AI/DT센터가 중심이 되어 추진할 예정이다. 센터는 신약개발 R&D 플랫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도구와 AI 업무지원 시스템 도입, 해외 관계사 정보화 연결 등 제약기업 비즈니스 밸류체인 전반의 AI 가속화와 DT 전환을 총괄하는 최고경영자(CEO) 직속 조직으로 이번 과제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AI R&D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의료·헬스케어 분야에서 국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사업에 선정돼 매우 뜻깊다"며 "AI/DT센터를 중심으로 루닛 등 국내 AI 선도기관들과 협력해 AI 기반 신약개발과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가속화하고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오는 11월부터 2026년 9월까지 약 10개월간 진행되며, 최종 선정된 컨소시엄에는 엔비디아 최신 GPU가 각각 256장씩 지원될 예정이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