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Q 연결 매출 1,508억원, 영업손실 194억원
IDT 인수 1년, 연결 기준 누적 매출 4672억원
차세대 백신 상업화 준비·글로벌 공급망 효율화
IDT 인수 1년, 연결 기준 누적 매출 4672억원
차세대 백신 상업화 준비·글로벌 공급망 효율화
이미지 확대보기SK바이오사이언스는 연결 기준 올 3분기 매출 1508억 원, 영업손실 194억 원을 기록했다고 3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약 2.5배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고, 영업손실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축소되며 손익이 개선됐다. 이는 IDT의 생산 효율화와 비용 구조 개선을 통해 재무 안정성이 강화된 결과로 주요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행과 R&D 투자 등에 따라 영업손실은 계속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지난해 10월 인수 완료한 IDT는 이후 꾸준한 매출을 기록하며 외형 성장에 기여했다.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누적 매출은 약 46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IDT는 SK바이오사이언스에 인수된 후 유럽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신규 고객 확보 및 수주 확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생산 효율화와 품질 관리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연간 매출이 흑자로 전환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자체 개발 백신들도 판매 호조를 보였다. 세포배양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는 국내 접종 시즌 초반부터 활발히 공급됐으며 태국·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시장으로의 수출도 증가하고 있다.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는 범미보건기구(PAHO)와의 장기 계약에 따라 2025~2027년 공급이 순항 중이며 2도즈 적응증 추가를 위한 국내 임상3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 시장 확장 채비에 나섰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2도즈 접종이 권장되는 추세에 부합하는 조치로 향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1000억원 이상의 R&D 투자를 자체적으로 진행했던 SK바이오사이언스의 투자 규모는 올해 한층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R&D 측면에서 차세대 백신 개발과 생산 인프라 고도화가 병행중이다. 사노피와 공동 개발 중인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은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임상3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상업 생산을 위한 안동 L하우스의 증축 공사도 완료하고 글로벌 공급을 위한 미국 cGMP 인증 절차를 준비 중이다.
또 메신저 리보핵산(mRNA) 플랫폼을 적용한 일본뇌염 백신의 글로벌 1/2상 임상이 진행중으로, 연내 주요 결과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를 기반으로 mRNA 기술 역량을 내재화하고 향후 신규 백신 개발로 확장해 간다는 목표다. 코로나 계열에 광범위하게 예방효과를 보이는 사베코 바이러스 백신도 개발이 본격화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개별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방식이 아닌 계열 전체에 유효한 백신을 개발해 향후 관련 바이러스 및 변이주를 한 번에 예방하는 범용 백신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최근 호주에서 이 백신에 대한 글로벌 임상 1/2상 시험계획을 신청했으며 오는 2028년 주요 결과를 확인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폐렴구균 백신 상업화와 차세대 백신 개발, IDT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CDMO 사업 확장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대폭 하락...한때 5만엔선 무너져](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80515474400644e250e8e188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