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대사 기능 개선하며 MASH 치료의 새로운 치료 옵션
체중 변화와 무관한 혈당 개선 효과로 차별적 기전 입증
체중 변화와 무관한 혈당 개선 효과로 차별적 기전 입증
이미지 확대보기11일 동아에스티에 따르면 이번에 발표한 동물실험결과에서 혈당 및 지질 개선 작용과 간에 직접 작용해 염증과 섬유화를 개선하는 것이 확인됐으며 지난해 12월 MASH 추정 환자 대상 임상2a상을 완료했다. 이번에 발표된 추가 분석 결과는 바노글리펠의 간 염증 및 대사 기능 개선을 통한 간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ASH 추정 환자 109명을 대상으로 위약군 바노글리펠 50㎎, 100㎎ 단독 투여군, 바노글리펠 100㎎과 DPP-4 저해제 병용군으로 나눠 16주간 무작위 배정, 위약대조 방식으로 진행된 임상2a상 시험을 기반으로 수행됐다.
이번 결과는 바노글리펠의 MASH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바노글리펠은 기저 간 손상 지표(ALT) 40~200 I/U 환자에서 혈중 ALT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DPP-4 저해제 병용에서 추가적인 ALT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바노글리펠 단독 투여만으로도 간 보호 효과가 발휘됨을 시사했다. 지방간 지표(CAP) 분석에서 간 지방량이 감소했고 순간탄성측정법(VCTE) 분석에서는 간 경직도가 완화됐다. 비침습적 평가 지표인 간 섬유화 지표(FAST), 간 질환의 위험도 지표(NIS-4) 점수도 기저치 대비 개선됐다. 혈중 바이오마커 분석에서도 세포 사멸과 염증, 섬유화 관련 지표가 감소되며 바노글리펠의 간 보호 메커니즘이 확인됐다.
글리세롤지질 및 글리세롤인지질 등 MASH와 관련된 병리적 혈장 지질의 농도가 줄어들며 정상적인 지질대사 프로파일로의 리모델링 효과가 관찰됐다. 또 바노글리펠에 의한 유의한 혈당 조절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투여 4주차부터 당화혈색소의 감소가 관찰됐으며, 투여 16주차 단독군에서 평균 당화혈색소가 0.54%포인트(P)줄었고, 병용군에서는 0.66%P 감소했다. 특히 환자들의 절반이 비당뇨병 환자였음에도 불구하고 4주차와 8주차, 16주차 모두 당화혈색소 감소가 관찰됐다. 이는 체중 변화와 무관하게 혈당을 개선한 결과로 기존 MASH 치료제 대비 차별화된 기전을 보여준다.
한편 메타비아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나스닥 상장사로 바노글리펠과 비만치료제 DA-1726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는 동아쏘시오그룹의 글로벌 R&D 전진기지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