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약품’ 마취제 매출 44% 상승, 주사제 51% 늘어나
CMO사업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 199억원 매출 달성
에스테틱 사업부 지속성장하며 휴온스 내 매출 비중 높여
CMO사업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 199억원 매출 달성
에스테틱 사업부 지속성장하며 휴온스 내 매출 비중 높여
이미지 확대보기16일 공시에 따르면 지주사 휴온스글로벌은 지난 2022년 6643억원 매출에서 2023년 7583억원으로 상승했다. 지난해에는 8134억원으로 최대치를 보였다. 상반기 411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번 3분기 매출액은 1537억원으로 다소 아쉬운 수치다. 4분기에 반등해야 지난해 연매출 이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해 고무적이다.
휴온스그룹은 기업 성장을 위해 사업 다각화 및 고도화로 전략을 잡고 있다. 핵심 사업은 전문의약품과 에스테틱, 의료기기 등이다. 핵심 자회사 휴온스는 전문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다. 또 위탁생산(CMO)과 뷰티, 웰빙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휴메딕스는 에스테틱 사업 중심으로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미용 의료기기 등을 취급하고 있다. 휴온스바이오파마가 보툴리눔톡신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휴온스메디텍은 의료기기 사업과 피부미용, 레이저, 충격파 치료기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휴엠엔씨는 의료 및 부티용 부자재 등을 판매하고 있다.
눈에 띄는 매출 신장은 휴온스의 전문의약품 판매와 CMO 사업이다. 3분기 휴온스의 전문의약품 매출은 7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성장했다. 마취제 수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44% 성장한 매출을 보였다. 주사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 CMO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한 19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공장 점안제 라인 가동률 상승에 따라 점안제 CMO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늘었다. 주사제를 비롯한 의약품 수탁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휴온스는 최근 2공장 신규 주사제 라인에 대한 의약품제조및품질관리기준(GMP) 인증을 받았다. 이에 따라 2공장을 연내 가동해 향후 매출과 수익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휴온스 에스테틱 사업부는 신규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곳이다. 매출액 공개가 제한적이나, 지난 2022년 휴온스글로벌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휴메딕스의 매출은 1110억원이라고 알려졌다. 또 뷰티와 웰니스 사업부 매출은 올해 2분기까지 422억원을 기록했다.
휴온스의 종속회사도 호실적을 보이고 있다. 분할합병으로 매출 이관이 완료된 건강기능식품 종속회사 휴온스엔은 지난 분기에 이어 매출액 194억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40.8% 성장한 것이다. 지난해까지 적자를 기록하던 휴온스생명과학은 3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상승 및 흑자전환을 지속했다.
한편 휴온스는 자기주식을 대상으로 하는 교환사채 발행도 결정해 공시했다. 자금조달의 목적은 기존 차입금 상환이다. 또 휴온스는 건기식 종속회사 휴온스엔의 생산설비를 보유한 건기식 제조업체를 인수를 위해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휴온스엔은 최근 건기식 수출 물량이 증가하면서 스파우트 생산라인이 최대 가동률을 넘어서서 가동 중이다. 이에 향후에도 수출 물량이 지속 증가해 신속한 생산 역량 증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



















![[특징주] 영원무역, 7.27% 급등 52주 신고가...NH투자증권 "목표...](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484205141edf69f862c118235146.jpg)
![[KRX 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1g당 19만800원 마감](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051909874edf69f862c1182351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