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리뷰] 장단 곶-디딤마루 『배꽃 춤판』 여섯 번째 이야기
김은이 연출, 기획의 『꽃 그림자 사이로…』展
이미지 확대보기창작무용으로 치닫는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들뜸을 가라앉히고 우리 춤의 소중한 가치를 일깨우는 『배꽃춤판』이 서서히 자리 잡고 있다. 극장 측 사정으로 아르코 대극장에서 강동아트센터로 춤판을 옮겨 출연자, 관객, 스텝들에게 부담을 안겼던 춤은 원래 의도했던 성과에 완벽하게 이르지 못했으나 편견과 경계심 없이 유쾌하게 봄날의 춤을 즐기게 하였다.
이번 공연은 임학선(성균관대 교수)의 『문묘일무』, 김현숙(선화예고 강사)의 『태평무』, 남수정(용인대 교수)의 『장검무』, 정혜진(서울예술단 예술감독)의 『장고춤』, 김용복(얼몸무용단 예술감독)의 『산조춤』, 이경화(북경무용대 객좌교수)의 『소고춤』, 장해숙(국립무용단 단원 역임)의 『살풀이춤』, 서영님(서울예고 교장 역임)의 『진도북춤』으로 구성된 명무의 향연이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포스터의 제일 꼭대기를 타고 있던 임학선은 실로 오랜만에 『문묘일무』을 몸소 추었고, 전통과 현대를 오가며 연기해낸 남수정은 『장검무』로 자신의 영역 확장을 확인케 해주었다. 장해숙은 『살풀이춤』의 변주를 보여주었고, 김용복은 작년에 이은 『산조춤』을 보여주었다. 다른 춤꾼들은 장르를 바꾸어 자신들의 능수능란한 다양한 춤사위를 아우르는 춤을 추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유인상(장구) 음악감독이 편성한 반주는 거문고, 꽹가리, 징, 대금, 아쟁, 피리, 해금, 가야금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명감독 신호의 빛이 무대의 분할과 공간 배치의 부족함을 잘 조절해 내었다. 배꽃 춤판은 화사와 내밀함이 수줍게 빛나는 절묘한 조화가 있어왔다. 조명에 극명하게 빛나는 의상과 춤이 그리움으로 와 닿는 풍경을 넘어 복합 관념을 견지해야 한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봄 밤, 봄의 전령들이 남긴 잔해를 딛고, 내공의 깊이와 춤결의 윤광(潤光)을 드러낸 여덟 무사(舞士)의 춤은 전승의 구축이 아니라 자유로운 해탈의 춤이었다. 강동에서 불어 온 춤바람은 이 춤 판이 늘 그래왔듯 전통 춤의 아름다움과 스타 춤꾼들 각자의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해마다 집착과 중독으로 몰아가는 배꽃춤판의 새로운 변주가 기대된다.
장석용 객원기자(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




















![[뉴욕증시] 아마존 강세 속 3대 지수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105294402113be84d87674118221120199.jpg)






![[초점] 롯데·인도네시아 국부펀드, 5조4000억 '메가딜' 가시화](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107485000997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