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소비심리 위축에…신세계, 3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13.9% 감소

글로벌이코노믹

소비심리 위축에…신세계, 3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13.9% 감소

디에프·신세계까사·센트럴시티 등 연결회사 실적 개선… 4분기 기대
신세계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감소하며 부진한 실적을 냈다. 사진=신세계백화점이미지 확대보기
신세계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감소하며 부진한 실적을 냈다. 사진=신세계백화점
고금리와 장기화된 경기침체 영향으로 신세계가 3분기 아쉬운 성적을 냈다.

신세계는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3.9% 감소한 131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4% 줄어든 1조4975억원을 기록했다.

고금리가 지속되며 주식·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가처분소득 역시 줄어들며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서도 백화점은 전년과 비슷한 매출 규모를 유지했고, 신세계디에프(면세점), 센트럴시티, 신세계까사 등 연결 회사들은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

실제 사업 부문별로 보면 먼저 백화점의 3분기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0.9% 감소한 6043억원, 영업이익은 15.1% 떨어진 928억원에 그쳤다. 물가 상승과 연동된 관리비, 판촉비등의 증가분이 영향을 미쳤다.
이어 연말까지 온라인 선물하기 서비스인 ‘신백선물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백화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리뉴얼 하는 등 온·오프라인 시너지를 확대하는데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신세계디에프와 센트럴시티, 신세계까사 등 연결 자회사들은 실적 개선을 이뤄내며 기대감을 높였다.

면세점은 수익성이 대폭 개선되는 등 선방했다. 신세계디에프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49.1% 급감한 4361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160.8% 개선된 133억원으로 흑자 경영을 이어갔다. ‘따이공(중국 보따리상)’에게 주던 송객수수료를 낮춘 영향으로 매출이 줄었으나, 개별 여행객(FIT) 비중이 확대되며 수익성이 크게 좋아졌다.

신세계센트럴시티도 호텔 투숙율과 임대 매장의 실적 상승에 힘입어 매출 942억원, 영업이익 249억원을 달성해 전년보다 각각 10.3%, 10.2%씩 신장했다.

지난해 호실적에 대한 부담과 일부 브랜드 계약 종료 여파로 신세계인터내셔날 매출액은 전년 대비 18.5% 감소한 3158억원에 머물렀다. 영업이익은 60억원으로 75.1% 줄었다. 다만, 회사 측은 꾸레쥬, 뷰오리 등 올 9월부터 새롭게 편입된 글로벌 인기 브랜드들이 4분기 실적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따.

신세계까사는 영업손실 18억원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3분기 58억원의 적자 규모 대비 대폭 개선됐다.

신세계 관계자는 “어려운 영업 환경 속에서도 백화점과 연결 회사들의 내실 있는 경영을 바탕으로 선전을 기록했다”며, “백화점 온·오프라인 혁신과 각사 핵심 경쟁력을 높여 4분기 개선된 실적을 보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sy12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