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환경·사회적책임·투명경영) 관련 신문 기사, 칼럼, 보고서, 책자 등을 보면 ESG에 대해 틀린 얘기를 하는 사람이 매우 많다. ESG를 종합적으로 정확하게 얘기하는 전문가는 아주 드물다. 대부분 경영학자, 경제학자, 법학자, 환경학자, 기자, 칼럼니스트 등이 자기 전문 분야 관점에서 ESG를 단편적으로 보고 틀리게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눈 가리고 코끼리 만지기’라고 할 수 있으며, 동양에서는 군맹평상(群盲評象)이라는 사자성어가 있고, 서양에서는 ‘Blind men and an elephant’이라는 말이 있다.
과거의 자본주의는 주주만을 고려하는 주주 자본주의에서 이제는 고객·노조·거래기업·채권자·정부·사회일반에 이르기까지 이해관계자(stakeholder) 모두에게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이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다. 이는 ESG 정신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그런데 주주 자본주의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발전한 것과 지속가능성이 ESG로 발전한 것은 발전한 경로와 결이 다르다.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ESG의 한두 부분으로 볼 수는 있는데,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ESG라고 하는 것은 지속가능성과 ESG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이 하는 말이다.
지난 정부에서는 사회적 경제를 강조했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지자체) 대부분에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생겼다. 공공기관에는 사회적경제팀 등 사회적 경제를 추진하는 조직들이 생겼다. ESG는 종합적으로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SG 중 S위주로 추진하겠다는 것은 잘못된 정책 방향이다. 각 지자체의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ESG지원센터로 변경해서 S만이 아닌 ESG를 포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공공기관의 조직도 마찬가지다. 사회적경제팀은 ESG팀 또는 ESG추진팀으로 바꿔야 한다.
윤석열 정부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때부터 이명박 정부 때 많이 썼던 녹색경제, 녹색성장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 이는 ESG 중에서 E(환경)를 강조하는 표현이다. 녹색경제, 녹색성장을 ESG라고 주장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 부득이 E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면 녹색경제, 녹색성장, 녹색금융이라는 표현을 쓸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ESG경제, ESG성장, ESG금융이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
ESG에서 G를 직역해서 지배구조하고 하는 것도 잘못이다. 지배구조라고하면 상장회사나 주식회사에는 해당이 되지만,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 지자체 등에는 지배구조가 해당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G는 지배구조뿐만 아니라 공정거래, 윤리경영, 준법경영, 투명경영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투명경영이라고 의역하는 것이 맞다.
국내에 ESG 관련 최고경영자과정이나 교육과정이 많이 있는데, 대부분 틀린 개념으로 교육하고 있다. 대학이나 대학원의 관련 전공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ESG가 발전하고 세계를 선도하려면 ESG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제대로 정립해야 한다. ‘눈 가리고 코끼리 만지기’식으로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ESG에 대해 부분적으로 제각각 다른 얘기를 하면 ESG를 추진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들도 혼란스럽고 한국의 ESG라는 배는 산으로 갈 것이다.
문형남 국가ESG연구원 원장(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대한경영학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