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등 기술 활용하고 비대면에 따른 리스크 관리해야
이미지 확대보기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송금과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출금 서비스 등을 이용할 때 수수료를 면제하고 있다. 대출 중도 상환시에도 중도상환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이같은 정책은 고객 확보를 위한 가격 경쟁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케이뱅크가 다른 은행과 비교해 최고 수준의 예적금 금리를 적용하는 것도 같은 방식이다.
그러나 인터넷전문은행이 가격 경쟁을 통해 성장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비은행 금융기관 자회사 형태의 인터넷전문은행이 주를 이루며 최근에는 빅테크와 대형 투자은행(IB)이 혁신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초기 인터넷전문은행은 초기에 가격경쟁을 통한 고객 확보에 주력했다. 그러나 가격경쟁 고객유치는 조달비용 상승을 불러오고 예대마진을 위한 고위험대출로 이어져 대손비용이 급증하는 등 건전성 악화를 겪으며 한계에 봉착했다.
이 연구원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예대업무 마케팅, 가격경쟁력 위주의 획일화된 방식이 아닌 ‘고객경험 제고’ 중심의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중요하다고 봤다. 이에 따라 최근 핀테크,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접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편의성과 속도 개선, Fun 요소의 부각 등 비가격 경쟁력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유럽 지역의 인터넷전문은행은 대형은행이나 금융그룹의 계열사 또는 사업부의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IT 기반의 챌린저뱅크(Challenger Bank)의 형태가 주목받고 있다. 챌린저뱅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기반으로 고객참여를 유도하고 암호화폐, P2P(개인간)대출 등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모바일 송금과 선불카드 서비스, 자산관리 서비스 등 틈새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하이테크주 약세에 반락...매수 물량 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