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 겨울이라더니'…모건스탠리, 하이닉스·삼전 목표가 상향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 겨울이라더니'…모건스탠리, 하이닉스·삼전 목표가 상향

AI 수요에 메모리 호황
삼성 14.4만·하이닉스 73만 제시
강세장 땐 최대 17.5만·85만 전망
11일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실시간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11일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실시간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11일 메모리 반도체 시장 호황이 강력한 인공지능(AI) 수요를 기반으로 삼고 있다며 국내 대표 반도체 종목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새로 제시했다.

모건스탠리는 전날 발간한 '메모리-최고의 가격 결정력'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최근 확인한 바로는 D램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고 신고가는 통상 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최근 메모리 호황에 대해 "메모리 수요가 AI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간의 경쟁에 의한 것이며 이들은 기존의 고객사들에 비해 메모리 가격에 덜 민감하다는 특징이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D램 가격 전망치는 최근 2주 만에 가파르게 상승했고, 낸드 계약가도 eSSD(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생산업체의 견조한 견적가에 힘입어 4분기에 20∼3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이런 배경 속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재평가했다.

우선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목표가를 14만4000원으로 제시했다.

더 나아가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진입 실패와 견조한 거시경제 상황 속에 반도체 수요 성장세가 계속 견조하다면 강세장에서 17만5000원까지도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SK하이닉스에 대해서도 목표가 73만원을 제시하면서 "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마진이 50% 후반대를 장기간 유지하고 HBM 시장의 선두 자리를 지킨다면 강세장에서 85만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봤다.

앞서 모건스탠리는 지난 2021년 8월 '반도체, 겨울이 온다' 제목의 보고서로 반도체 업황 다운사이클을 예측해 주목받았다.
특히 지난해 9월에는 일반 D램 가격 하락과 HBM 공급 과잉 등을 이유로 SK하이닉스 목표가를 대폭 낮췄고 그 여파로 주가가 장중 약 11% 급락하기도 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