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름값도 못하는 동전 없는 사회' 실적

글로벌이코노믹

'이름값도 못하는 동전 없는 사회' 실적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한국은행이 동전 사용을 줄이기 위해 추진 중인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의 실적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사진=픽사베이이미지 확대보기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한국은행이 동전 사용을 줄이기 위해 추진 중인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의 실적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사진=픽사베이
한국은행이 동전 사용을 줄이기 위해 추진 중인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의 실적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동전적립서비스 이용실적’에 따르면 2019년 2분기 기준 동전 적립 건수 및 금액은 일평균 각각 2만 5천 건, 전국 가맹점당 하루 이용 건수는 0.7건에 불과했다. 적립금액은 2017년 3분기 일평균 약 600만원에서 오히려 줄어 올 2분기에는 480만원 수준에 그쳤다. 건별 적립 금액은 200원 내외에 불과했다.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은 현금결제 시 편의를 제공하고 동전의 제조 및 관리에 드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지난 2017년 4월 도입됐다.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현금 거래 후 남는 잔돈을 포인트카드나 교통카드에 적립하는 방식으로, 2019. 8월말 현재 롯데, 이마트 등 2개 대형마트와 세븐일레븐, 이마트24, CU, GS24 등 4개 편의점 브랜드 3만 6천여 개 매장이 시범사업에 참여 중이다.

유 의원은 “연 500억원 수준의 동전 주조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실적은 미미하다”고 지적하고 “사업이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사업부진의 원인을 찾고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권진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ja@g-enews.com